경제·금융 경제동향

각국 중앙銀 "공조"외치지만 엇갈린 셈법…각자도생 길 가나

"시장 안정 위해 긴밀 협조" 이례적 공동선언문 발표

美 금리인상 연기 무게…ECB, BOJ도 추가 완화 유력

통화가치 절하 놓고 시각차…벌써부터 공조 회의론 대두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이후 요동치는 국제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각국 중앙은행의 공조체제가 시동을 걸었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당장 요동치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진정을 위해 손을 잡은 셈이지만 나라마다 통화가치 절하를 놓고 이해관계가 다를 수밖에 없어 이 같은 공조가 얼마나 지속될지에 대한 회의적인 관측도 나온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5일(이하 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국제결제은행(BIS) 세계경제회의 직후 의장인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는 “각국 중앙은행들은 시장기능 작동 여부 및 안정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상호 긴밀한 협조를 계속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BIS 세계경제회의는 세계 경제·금융 문제를 논의하고 BIS 산하 주요 위원회의 보고서를 검토·승인하는 자리다. 참석 대상은 한국, 미국, 중국, 유럽중앙은행(ECB), 스위스, 일본,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 30개국 중앙은행 총재들이다.


당초 이날 회의에서는 브렉시트 영향과 관련한 논의가 일정에 잡혀 있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당초 브렉시트와 관련한 논의가 예정돼 있지 않았는데 급작스럽게 회의가 열렸다”며 “이주열 총재도 회의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BIS 회의 이후 각국 중앙은행이 특정 이슈에 대한 공동 선언문을 발표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중앙은행의 공조체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한 번 있었다. 김진일 고려대 교수는 “금융위기 때도 각국 중앙은행이 공조체제를 구축해 금리를 동시에 낮춘 적이 있다”며 “국제금융시장의 혼란으로 생길 수 있는 위기를 막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선제적으로 내비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때문에 금융시장에서는 향후 브렉시트로 인한 혼란이 가중될 경우 미국의 금리 인상이 멀어질 수 있는데다 ECB와 일본은행(BOJ)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동시에 완화적 통화정책을 펼 수도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각국 중앙은행은 이번 회의에서 영국중앙은행(BOE)의 비상조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마크 카니 BOE 총재는 “영국이 EU 탈퇴를 선택한 데 따른 금융시장 충격 완화를 위해 기존 경로를 통해 2,500억파운드를 공급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필요하면 외환 유동성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브렉시트 여파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시장 전반의 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연준이 금리 인상 시기를 늦출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이 예상하는 7월·9월 금리 인상 확률은 ‘제로’에 그치고 있다.

각국 재정당국의 발걸음도 급박해졌다. 앞서 23일 중국 샤먼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에서도 각국은 유동성 추가 공급 등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는 등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뜻을 모은 바 있다. 주요7개국(G7)은 24일 브렉시트 결과가 나온 후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열어 “환율의 과도한 변동성과 무질서한 움직임은 경제와 금융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시장 기능 회복을 돕기 위해 유동성 수단을 쓸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본이 엔저를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를 도모하는 것 등을 두고 파열음이 불가피하리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통화정책을 놓고 자국 이기주의가 득세할 수밖에 없어 이런 공조체제도 금세 깨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경립·김상훈기자 klsin@sedaily.com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