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브렉시트 후폭풍]유일호 “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해 과감한 시장 안정화 조치 취할 것”

브렉시트 영향 장기화.. 긴호흡으로 대응방안 마련할 것

각국 대응과정에서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져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재부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재부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에 따른 영향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긴 호흡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브렉시트가 전 세계 외환·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부총리는 “브렉시트에 따른 시장 불안은 과거에 겪었던 몇 차례의 금융위기와는 성격이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복잡하게 얽혀 있는 유럽 국가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앞으로의 상황 전개가 더욱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서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세계 경제 여건이 매우 취약한 상황에서 브렉시트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며 “금융시장 충격과 교역 감소 등으로 취약한 세계 경제의 회복세를 더욱 약화 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각국이 시장 안정조치를 발표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미국 연준이나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강조했다.

유 부총리는 “그간 유사한 전례가 없고 다양한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만큼 영국의 EU 탈퇴 협상이 장기화되고 그 기간 중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80년대 빅뱅으로 금융분야 세계화를 이끌었던 영국이 역주행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세계경제 흐름이 어떻게 변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부총리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정부는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선제적으로 국내외 경제 상황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관계부처와 합동점검반을 신속히 구성해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대외건전성은 어느 때보다 견조하며, 3,700억달러가 넘는 외환 보유액 등 현재도 충분한 대응능력이 있다”며 “금융불안에 대응해 단기적으로 적기에 과감한 시장안정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