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송도 LNG(천연액화가스)기지 증설 지연…발주사, 업체 ‘죽을 맛’

정부가 장기적인 액화천연가스(LNG) 수급 안정을 위해 인천 송도에 LNG 기지 증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해당 구청이 주민 여론을 핑계로 1년이 넘도록 공사 허가를 내주지 않아 발주처 및 수주업체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공사를 수주한 업체들은 현재까지 인건비 등을 합쳐 모두 130억원을, 공사를 발주한 한국가스공사도 공사지연 보상금으로 약 150억여원의 금전적 손실을 보고 있다.

26일 인천시와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5,080억원을 들여 오는 2018년까지 연수구 송도동 25만5,353㎡ 부지에 2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와 기화송출설비, 변전소 등을 건설하는 송도 LNG 기지 증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증설 공사가 마무리되면 LNG 저장탱크는 20기에서 23기로 늘어나고 저장용량도 348만㎘로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인천시와 가스공사는 이 공사가 지역 의무 공동도급 대상이 아니지만 전국 최초로 공사의 20% 이상을 지역 업체에 할당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해당 구청은 LNG 기지 증설과 관련해 ‘폭발사고가 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논리로 주민들의 눈치를 보면서 공사 허가를 내주지 않아 1년이 지나도록 첫 삽을 뜨지도 못하고 있다. 가스공사 인천기지 건설단은 지난 4월 해당 구청이 ‘주민 의견 수렴’ 보완을 이유로 건축허가를 미루고 있는 것은 위법이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했으며 사정이 여의치 않자 27일 행정심판 재심을 요구해 놓은 상태다.

이와 관련 공사를 딴 업체들은 지난해 5월부터 현재까지 금융이자와 직원들의 급여로 매월 10억원씩 총 130억원의 금융비용을 지출했다. 가스공사도 매월 2억원의 공기 연장 간접비를 공사 수주업체에 물어주고 있다. 가스공사는 지금까지 피해금액이 약 150억원이며 앞으로 매월 16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스공사 측은 안전성 문제와 관련해 “LNG 기지는 압력용기가 아닌 대기압과 같은 상태여서 화재가 발생해도 폭발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며 “최근 주민들과 공동으로 실시한 용역에서도 안전성이 검증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역 건설업계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경우 지역 일자리 창출은 물론 음식·숙박업 등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가, 건설장비 임대업 활황 등 800억원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