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선업 위기 극복은…중국 조선위기 극복방안 주목해야

국내 조선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중국 조선업계의 위기 대응책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중국 조선업은 첨단기술력 확보, 정부 차원의 적극 지원, 자국발주로 수주량 확보, 적극적 구조조정, 저가 수주를 경쟁력으로 내세워 위기극복에 나서 성과를 내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BDI)은 27일 ‘중국 조선업의 위기극복이 국내 조선업에 주는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내고 국내 조선업의 대응책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불경기의 영향으로 중국 조선업도 불황기에 처해 지난해부터 민영조선기업을 중심으로 많은 조선기업이 도산했다.

중국 조선업의 메카 장쑤성에서 최고 기술력으로 평가받던 정허조선소가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상하이 민영조선소 둥팡중공도 파산했다.

이에 중국은 첨단기술력 확보, 정부 차원의 적극 지원, 자국 발주에 의한 수주량 확보, 저극적인 구조조정, 저가 수주 등을 통해 위기 극복에 나서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장정재 연구위원은 “먼저 중국은 선박을 많이 만들기보다는 경쟁력 있는 조선기술을 많이 확보하는 쪽으로 정책목표를 전환했다”며 “벌크선 중심에서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장 연구위원은 또 “중국은 연구개발로는 단기간에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대내외적으로 M&A를 추진해 고부가가치 기술을 빠르게 확보했다”며 “중국 정부는 경쟁력 있는 조선기업 60개를 선발해 집중 육성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자국(自國) 발주로 ‘수주절벽’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중국은 과감한 구조조정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장 연구위원은 “중국정부는 조선업 과잉생산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 2013년부터 구조조정에 착수했다”며 “국영기업이라도 특별한 경쟁력이 없으면 시장에서 퇴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유기업 파산은 대량 실업을 초래하기 때문에 중앙·지방정부 그동안 용인하지 않았으나 이제는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장 연구위원은 “한국과 일본의 조선업계가 가격 프리미엄을 유지하는 것과는 달리 중국은 저가 수주를 통한 가격경쟁력으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 조선업의 이러한 점을 비춰볼 때 부산지역 조선업은 경쟁력 있는 업체 육성, 기업들의 자체 경쟁력 강화, 고객 세일즈 강화 및 생산 다각화, 국내 발주 활성화 등을 통해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