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서는 “삼성이 위험을 외주화하고 있다”거나 “상시적 업무는 직접고용 정규직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또 서비스지회는 △위험한 작업을 거부할 권리 △에어컨 수리 2인1조 처리 △건당 수수료 제도 폐지 △설치감리 확대 운영 등을 삼성에 요구했다.
서비스지회 측 관계자는 “이번 사태의 진짜 원인을 규명하고 죽음을 멈출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재계는 이번 사건을 안타깝게 보면서도 협력사 AS센터가 생겨난 배경은 무시되고 이번 일을 계기로 AS 업무 분사를 되돌리라는 식의 주장이 나오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한 가장의 죽음은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감성에 호소해 이익을 추구하는 일은 곤란하다는 것이다.
우선 삼성 AS센터는 직영과 협력사가 섞여 있다. 이 중 90% 이상이 협력사다. 1960년대 동네에서 가전제품을 수리하던 전파상이 삼성전자가 커지면서 협력관계를 맺게 됐고 지금은 삼성전자서비스와 위탁관계라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삼성이 위험을 외주화하기 위해 AS센터에 협력사를 두는 게 아니라 반대로 형성과정이 자발적이었다는 얘기다. 이번에 사고가 난 성북센터도 협력사가 운영하는 곳이다.
“외주화를 중단하라”는 것이나 “상시적 업무는 직접고용 정규직화하라”는 주장도 삼성이나 재계 입장에서는 당장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판매망으로 직영점과 개인사업자가 운영하는 대리점이 있는데, 이 같은 주장에 따르면 대리점 직원을 모두 채용하라는 말이다. 대리점의 업무영역까지 모두 대기업이 가져가라는 것인데 반대로 협력사의 불만이 나올 수 있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업무 분화가 이뤄지면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리업무는 자회사로 두는 것이고 협력사와 AS 업무를 함께 하는 것”이라며 “협력사는 별도 사업자인데 이들까지 모두 직접 고용해 정규직화하면 고용 경직성이 커지고 그 부담은 모두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재계에서도 이번 사건을 통해 안전 분야와 관련한 협력사 관리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협력사라고 하더라도 직원이 안전규정을 위배하거나 문제가 생길 경우 불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협력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그래야 협력사도 안전을 중요시하게 된다는 뜻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의 AS 구조가 생겨난 배경을 살필 필요가 있다”면서도 “삼성전자서비스도 이번 일을 계기로 협력사 관리 부문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