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투자의 창] 브렉시트는 금융위기 아니다

안병국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안병국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


과거 전 세계 금융시장을 좌지우지한 것은 정치나 사회 이슈가 아니라 경기 흐름이었다. 이번에는 다르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Brexit)는 기존 세계 질서의 대대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정치나 사회 이슈가 경제와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앞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유럽에서는 오는 10월 이탈리아 개헌 관련 국민투표와 내년 4~5월 프랑스 대선, 8~9월 독일 총선이 잇따라 치러진다. 특히 유로존(유로화 사용 지역) 내에서 EU 탈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꽤 오랫동안 이어질 것이다.

더 큰 불확실성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이다.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는 미국 고립주의와 반이민, 보호 무역주의를 외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큰 부담이 되는 주장이다.


이 같은 요인들은 단기간 내 해결되거나 반영되지 않는다. 오래도록 이어질 이슈다. 브렉시트는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파산으로 이어지는 금융위기가 아니다. 오히려 각국 정부의 재정·통화 정책이 다시 강화될 수 있다.

관련기사



우선 미국은 금리 인상 시기를 뒤로 미룰 것으로 보인다. 올해 12월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될 확률은 40%에서 10% 수준으로 급락했다. 통화 정책의 약발이 떨어지고 있는 만큼 재정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에서는 재정 긴축 조건이 완화될 것이다. 가입국의 추가 EU 탈퇴를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주요국 재무장관들은 EU에 정책 유연성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일본도 다급한 상황이다. 다음달 10일로 예정된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비세 인상을 연기한 데 이어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예상된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대외 여건이 불안해짐에 따라 10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계속 낮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의 발 빠른 재정 보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렇듯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각국이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한다면 국내 주식시장에서 우려하는 급락 흐름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외국인 자금의 이탈 여부다. 국내 주식시장은 외국인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외국인의 매도세가 거세진다면 주가 조정은 피하기 어렵다. 외국인의 매도세가 이어지지 않고 국내 기관투자가가 매수 우위를 보인다면 시장은 우려와 달리 안정된 흐름을 보일 것이다. 시장이 안정을 찾는다고 해도 코스피지수가 ‘박스권’을 벗어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중장기적인 시각으로 미래 성장 가치가 높은 종목에 대한 관심을 두는 편이 좋다.

안병국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