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산업연 "시스템반도체, 中에 추월당해"

산업硏 '수출부진 원인 보고서'

철강·석유화학 등 기술력 차이 없어

구조조정·신산업 발굴 적극 나서야



중국의 산업경쟁력이 한국에 육박한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경고가 나왔다. 시스템반도체 기술은 이미 한국을 추월했고 철강·석유화학·섬유 분야의 품질과 기술도 한국에 매우 근접했다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29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 원인과 구조조정 방향’ 보고서를 내고 “우리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세계시장 경기 부진과 후발국과의 경쟁이 주요 원인인데 이 중에서 중국과의 경쟁심화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중국의 가격경쟁력은 대부분 우리나라보다 높았고 일부 업종에서는 품질과 기술력도 한국의 턱밑까지 따라왔다.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자동차·조선·일반기계 등은 중국의 품질과 기술이 우리나라의 75~85%에 불과하지만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중국의 기술이 우리보다 10%가량 앞섰다.


특히 철강·석유화학·섬유 등 소재산업에서 중국의 품질과 기술은 우리나라의 95% 수준까지 올라온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화학은 한국과 중국 간 수준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게 산업연의 평가다.

관련기사



한국의 또 다른 주력 분야인 가전·정보통신 등에서도 중국의 품질·기술 수준은 우리나라의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플레이·정유는 아직 우리나라가 앞섰지만 중국이 최근 투자를 강화하고 있어 갈수록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메모리 분야는 5년 뒤에도 우리가 여전히 우위에 있겠지만 중국 기업이 잠식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화질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듈도 중국과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연은 “주력산업에서 향후 5년 뒤에도 우리가 중국에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품목은 일부 고급 제품이나 핵심소재·부품에 불과할 것”이라며 “이런 분야는 수요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기존 주력제품을 대체하기는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산업연은 업종별 수출부진의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해 대응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산업연은 “조선처럼 경쟁력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세계시장 변화와 기업경영 부실로 어려움을 겪는 산업은 시장 회복기를 가정해 구조조정하고 철강·정유·석유화학 등 구조적으로 시장이 위축된 분야는 생산능력을 조정하고 신산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