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이 환경산업펀드 조성에 박차를 가하는 등 급팽창하고 있는 세계 환경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반면 한국은 국내 환경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환경산업펀드’가 첫발도 내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모습이다.
3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대규모 환경 프로젝트에 중·장기적으로 자본을 투자할 수 있도록 공공기금·개발기금·민간투자금 등을 결합해 오는 2020년까지 3,000억위안(53조원) 규모의 ‘환경발전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환경발전 국제협력위원회(CCICED)는 앞으로 2030년까지 산업오염관리 등 6개 분야에서 최소 41조위안(약 7,200조원)에서 최대 125조위안(약2경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며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환경 프로젝트에 자본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발전펀드 조성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은 정부와 파트너십을 맺은 금융기관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츠비시도쿄, UFJ은행 등 일본 금융회사들은 환경기후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위한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하나로 아시아개발은행(ADB)와 협력해 7억5,000만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한국 환경산업 시장 전망은 중국·일본과 마찬가지로 긍정적이다.
국내 환경산업 수출 규모는 연평균 3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앞으로 5년 내 국내에는 약 2조원 규모의 신규 환경산업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환경산업펀드 쪽의 사정은 중국·일본과 판이하게 다르다.
김종술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이사는 “민간투자자들의 환경산업에 대한 이해부족과 리스크 등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환경산업의 투자금은 전체 민간투자금의 약 2.3%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 어렵게 민간투자를 유치해 현재 해외에서 친환경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을 진행하고 있는 한 중소 환경기업 대표는 “변동성이 큰 해외환경사업을 추진하면서 투자처 확보가 어려워 많은 해외 환경산업 프로젝트들이 무산되고 있다”며 “부처별로 펀드가 있긴 하지만, 저마다 부처의 핵심 사업에 투자해 환경업체들은 활용이 어려워 환경산업 전문 펀드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전문가들도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이 참여하는 환경산업 전문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전응철 미래에셋대우 본부장은 “정부가 주도해 펀드를 조성하면 민간 시장에 환경산업 시장 확대에 대한 긍정적인 시그널을 줘 환경산업 분야에 자발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하고, 환경산업의 자생력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