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유휴 철도부지에 상업시설 등 개발 길 열려

서울시 복합주거중심 등 '5개 유형 관리방안' 마련

서울의 사용하지 않는 철도 부지에 상업·주거시설 등을 지어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방안이 마련된다.


서울시가 마련한 ‘유휴 철도부지 관리방안’을 보면 총 5개 유형으로 나눠 이에 맞는 관리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유휴 철도부지란 철도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철도 외 용도로 개발 가능한 모든 철도 부지를 의미한다. 시가 코레일과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중장기적으로 개발 가능한 유휴 철도부지는 37곳이다

관련기사



세부적으로 보면 주변지역의 특성에 따라 △중심지 △상업중심 △복합지역 △근린생활 △주거중심 등 5가지로 유형화된다. 중심지는 상업·업무면적이 넓고 승객수요와 공시지가 모두 높은 곳으로 해당 철도부지를 개발할 경우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 이상으로 관리하게 된다. 상업지역은 승객수요가 높은 곳이며 복합지역은 공시지가가 높은 곳이다. 근린생활과 주거중심은 철도부지에서 주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곳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레일 등이 향후 철도부지를 개발한다고 할 때 서울시가 협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이라며 “법적인 강제사항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