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IST 유럽-KIT, 화학물질규제 선제대응 위한 MOU 체결

EU 등 해외 화학물질 규제 연구에 협력키로

무역 장벽에 시름하던 국내 기업 지원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유럽연구소와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4일 대전시 대덕특구에 위치한 KIT 대전연구소에서 화학물질규제 선제대응과 기업지원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IST 유럽은 1996년 독일 자르브뤼켄에 설립된 해외 현지법인 정부 출연 연구소다. 유럽연합(EU) 내 화학물질 관련 규제 대응 전략을 연구하고, 유럽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KIST 유럽은 2013년 5월 국내 최초로 KIT와 공동으로 중소기업 화학물질의 EU REACH 등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번 MOU를 통해 두 기관은 △EU 신유해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및 REACH 유사제도 연구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이행에 필요한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해외 진출 기업 지원 등과 관련해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2008년부터 시행된 EU REACH에 따라 EU로 수입되는 화학물질이 연간 1톤 이상일 경우 물리화학적 특성, 인체 및 생태 독성 등의 시험 자료와 위해성 평가결과 등을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등록해야 한다. 국내 기업들은 REACH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현지 시장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기사



국내에서도 지난해 1월 1일부터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 관리법(화관법)이 시행되면서 기업의 규제대응관련 기술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귀원 KIST 유럽 소장은 “KIT와 협력해 해외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현지 진출을 적극 돕겠다”며 “비관세 규제 장벽을 해소하고 국내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