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폐탄광지 소나무, 모래밭버섯균 덕분에 2배나 훌쩍 커

국립산림과학원, 친환경공법으로 폐탄광지 산림복원 성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저비용·고효율 친환경공법으로 폐탄광지의 산림을 복원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강원도 태백시 폐탄광의 산림 복원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미생물인 ‘모래밭 버섯균’을 접종한 소나무 용기묘를 식재한 결과 높이 13cm에 불과했던 1년생 소나무 묘목이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250㎝ 넘게 자란 것을 확인했다. 미생물 처리를 하지 않은 묘목은 130㎝까지 생장하는 데 그쳤다.


이는 모래밭버섯균이 잔뿌리 역할을 해 건조하고 척박한 석탄 폐석 더미에서 소나무 묘목이 수분과 양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왔기 때문으로 미생물이 소나무 묘목의 생장률을 약 2배 증가시킨 셈이다.

관련기사



또한 기존 복구 방법은 ha당 15톤 트럭 600대분의 흙이 필요하고, 7,000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었으나, 이번에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이 실시한 미생물 처리는 처리 후 약 1,000만원의 비용이 들어 비용 85%를 절감했고 토양 확보를 위해 산지를 추가로 훼손할 필요가 없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김수진 박사는 “연구 결과가 향후 폐탄광지 복원 시 비용절감 및 조기복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폐탄광지에서 흙을 덮지 않고 소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관련 법령 개정과 개발된 기술의 보급을 위해 5일 태백 폐탄광지 복원 현장에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