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주요 6개국과 합의 후에도 핵 장비 획득"

독일 정보당국 보고서 인용

WSJ "2016년에도 불법 획득 시도했다"

이란이 작년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과 독일 등 주요 6개국과 핵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합의한 후에도 불법적으로 핵 장비 구입을 시도했다고 독일 정보 당국이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독일의 노스 라인-베스트팔렌 주 정보당국의 보고서를 인용해 2015년 대량파괴무기 확산과 관련된 물품에 대한 141건의 획득 시도가 있었으며 그 가운데 3분의 2가 이란과 관련됐다고 전했다. 또한 독일 정보 당국자들은 이란의 불법적인 핵 물품 획득 시도가 2016년에도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란 측이 획득하려던 핵 물품은 주로 민간용과 군사용도가 모두 가능한 핵 기술 관련 물품으로 주로 진공·측정 물품이었다. 해당 물품은 화학 및 섬유 물질에서부터 첨단제품까지 다양하다고 전해졌다. 이란은 미국·독일을 포함한 주요 6개국(P5+1)과 지난해 7월 이란의 핵 폐기 상황을 비롯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도출하고, 그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란이 핵 프로그램 감축 약속을 이행했음을 확인한 뒤 올해 1월부터 전방위적인 제재가 풀렸다.

관련기사



WSJ는 독일 정보당국의 이런 조사 결과에 대해 미국 측은 “이란이 제재가 해제된 이후 핵 합의를 어긴 적이 없을 것”이라며그 의미를 평가절하했다고 썼다. 미국 당국자들은 오히려 “국제원자력기구가 이란이 핵 관련 합의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며 독일 측의 보고와 반대되는 의견을 내놨다고 WSJ는 지적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