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사전피임약 '야스민' 복용 환자 사망...부작용 조사 중

국내 여의사 복용 후 하지마비 증상 보이기도

동일 성분의 약으로 사전피임약 '야즈'

사전피임약 ‘야스민’을 복용하던 환자가 사망해 현재 연관관계를 조사 중이다 / 출처=이미지투데이사전피임약 ‘야스민’을 복용하던 환자가 사망해 현재 연관관계를 조사 중이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사전피임약 바이엘코리아 ‘야스민’을 복용하던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미 국내에서 한 차례 사망 사례가 있었던 만큼 ‘야스민’의 부작용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13일 뉴스1은 제약업계의 말을 빌려, 지난 5월 인천 검단지역의 한 산부인과 의원에서 야스민을 처방받아 복용한 환자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바이엘코리아 측과 식품의약안전처는 사망환자의 사인이 약물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 조사 중이다.

앞서 지난 2012년 2월 춘천의 한 병원에서는 월경통을 겪던 환자가 야스민 3개월을 처방받고 복용한 지 한 달 만에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이다 사망한 바 있다. 해외에서도 사망 사건이 보고됐고, 국내 산부인과 의사가 야스민을 복용한 후 하지마비 증상을 보인 사례도 있다.


야스민은 고나다트로핀(gonadatropin)을 억제해 배란을 막고 자궁 경관의 점액과 자궁 내막의 변화를 일으키는 프로게스틴(progestin) 유도체다. 동일 성분의 약으로 사전피임약 ‘야즈’가 있다. 처방 함량은 야스민과 다르다.

관련기사



식약처에 따르면 ‘야즈’의 경우 국내에서는 부작용 사례가 보고된 바는 없다. 다만 일본에서 3건의 사망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프로게스틴 유도체 약물은 최근 국내외에서 혈전색전증 등 부작용으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전색전증’이란 쉽게 말해 피 덩어리가 생겨 혈관이 막히는 질환이다. 춘천 사망자의 사인도 폐혈관에 혈전이 생긴 폐혈전색전증이었다.

IMS 헬스데이터 기준으로 ‘야스민’은 올해 1분기 5억9,700만원어치가 팔렸다. ‘야즈’는 24억9,900만원으로 사전피임약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이 판매됐다.

/이효정인턴기자 kacy951@sedaily.com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