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유해논란 괴담 아닌 사실?

지난 13일 JTBC의 보도

일본, 주민 피해 호소하며 기지 철거 요구시위

괌, 사드 운영요원 "이 지역에서 살 수 있는 건 두 마리 돼지 뿐"

JTBC의 보도에 따르면, 사드가 설치된 지역 주민들은 사드에 의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출처= JTBC ‘탐사플러스’ 영상 캡쳐JTBC의 보도에 따르면, 사드가 설치된 지역 주민들은 사드에 의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출처= JTBC ‘탐사플러스’ 영상 캡쳐


사드가 배치된 지역은 소음과 전자파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JTBC는 ‘탐사플러스’를 통해 사드가 배치된 일본 교가미사키와 괌의 사례를 토대로 안정성을 살펴봤다. 그 결과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국방부의 말과는 달리 현지 주민들은 사드에 의한 피해를 호소했다.


2014년 사드 레이더가 설치된 일본 교가미사키는 레이더 가동에 필요한 12개의 엔진이 24시간 돌아간다. 그로 인한 소음은 1Km 이상 떨어진 마을까지 고스란히 전달된다.

또한 마을 주민들은 미·일 양국이 사드 배치 이후 정확한 전자파 측정을 약속했지만 레이더회사가 만든 자료를 토대로 검토했을 뿐 정확한 측정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마을 주민들은 이로 인해 구토와 어지럼증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기지 철거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관련기사



괌의 경우에도 일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1월 미국 기관지 ‘성조지’는 괌에 설치된 사드 포대에 대해 “발전기의 굉음이 작은 마을 전체를 덮어버릴 정도”라고 소개했다. 또한 성조지는 사드 운영요원의 말을 빌려 “이 지역에서 살 수 있는 건 두 마리 돼지 뿐”이라며 근처에 사람이 살기 어렵다고 전했다.

현재 정부와 국방부는 전자파·소음·수질오염 등 수많은 문제 제기에도 불구, 사드가 인체에 위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은 민가가 있는 내륙을 향해 사드가 배치될 예정이다/ 출처= JTBC ‘탐사플러스’ 영상 캡쳐한국은 민가가 있는 내륙을 향해 사드가 배치될 예정이다/ 출처= JTBC ‘탐사플러스’ 영상 캡쳐


한편 한국은 바다를 향해 사드가 배치된 일본이나 괌과는 달리 민가가 있는 내륙을 향해 배치될 예정이다. 사드 배치가 확정된 경북 상주는 주변반경 2.5km 이내에 초등학교, 아파트 등 시내가 자리 잡고 있어 소음과 전자파 등 어떤 영향이 있을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철저한 사전조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효정인턴기자 kacy951@sedaily.com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