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단독]신한금융투자 6,000억 증자… 7번째 '한국형 IB' 도약

내달 이사회서 최종 의결

자기자본 2조4,000억원인 신한금융투자가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한국형 투자은행·IB)로 도약한다. 자기자본이 3조원대인 대형 증권사의 탄생은 미래에셋증권(037620)에 이어 7번째로 금융투자업계의 대형화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인 증권사에 부여되는 자격으로 기업 신용공여(대출)와 프라임브로커리지(헤지펀드 전담 중개·대출·상담) 등의 사업을 할 수 있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와 신한금융투자는 앞으로의 사업 방향을 논의하는 ‘콩코드(concord·화합) 회의’를 이달 초 마무리 짓고 이같이 결정했다. 신한금융그룹의 콩코드 회의는 지주사와 계열사가 중요한 사업 계획을 조율할 때 구성되는 협의체다. 신한금융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신한금융지주 내부의 추가 논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8월에 열리는 이사회에서 주주 배정 증자 안건을 의결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지주는 신한금융투자의 지분 100%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신한금융투자의 자본확충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지난 2007년에 5,000억원의 증자를 한 뒤 9년 만이다.

관련기사



신한금융지주는 신한금융투자의 증자 이후 27개에 그친 은행·증권의 복합점포(PWM)를 최대 100개까지 늘릴 방침이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복합점포가 늘어나야 그룹 차원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앞으로 금융상품 판매 채널 전략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