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술·담배 끊어내는 '뇌 임플란트' 발견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서 ‘새해 다짐’ 으로 금연과 금주를 꼽지만, 한 달만 지나면 자신과의 약속은 저멀리 사라져버리곤 한다. 이렇게 의지가 약한 사람들을 위해 술·담배를 끊어내는 ‘뇌 임플란트’가 발견됐다는 희망적인 소식이다.

최근 이루어진 뉴질랜드 연구에 따르면 뇌에 이식하는 임플란트를 통해 기존의 약물치료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술·담배를 끊어낼 수 있다.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연구진이 사용한 이 임플란트는 크기가 매우 작으며, 술이나 담배 혹은 식욕을 제어하는 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임플란트는 미국의 한 메디컬의료기기 전문업체에 의해 제작됐으며, 이를 이식하는 전문의들의 판단에 따라 특정 뇌 부위를 다양한 강도로 자극할 수 있게끔 설계됐다.


연구진은 1차 실험에서 알코올중독 환자 6명의 뇌에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수술을 실시한 뒤 경과를 지켜봤다. 그 결과 6명 전원이 효과적으로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났으며, 이중 2명은 술과 더불어 담배를 끊어내는 데에도 성공했다. 또한 ‘뇌 임플란트’는 잦은 손 씻기나 숫자 세기, 지나치게 확인하기 등 ‘강박장애’를 치료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박장애’는 반복적이고 원치 않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을 뜻한다. 뇌에서 강박장애 및 알코올·흡연중독 등을 제어하는 부위가 모두 같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과거 독일에서도 알코올중독 치료를 위한 뇌 임플란트 시술이 시도되었지만, 당시는 임플란트의 자극 부위가 ‘보상’을 담당하는 영역에 한정돼 있었다. 또 당시 시술을 받은 환자군 전체가 이후 알코올 중독 재발 증상을 보이는 등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진 못했다.

연구를 주도한 오타고대학의 디르크 드 리더 교수는 “이번 뇌 임플란트 실험이 뇌의 ‘열망’을 제어하는 부위를 타깃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치료방법과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치료가 금연·금주의 성공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강박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