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성해파리 2배 급증..."쏘였을땐 문지르면 안되고 바닷물로 세척"

안전처, 노무라입깃해파리 출현율 20%..."해수욕객 주의"

7~8월에 국내 전역 출현해 어업과 사람들에게 피해

바닷물로 세척해야...수돗물이나 알콜세척은 더 위험

휴가철을 맞아 바닷가 물놀이객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독성이 강한 해파리가 올해 크게 늘어 주의가 요구된다. 해파리에 쏘였을 땐 상처를 문지르거나 수돗물 등으로 닦으면 독을 더 퍼지게 해 조심해야 한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강독성인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출현율이 작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며 해수욕객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파리 출현정보 자료집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주로 출현하는 해파리는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로 7월~8월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출현율이 높아진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강독성으로 7월 중순부터 우리나라 전역에서 출현하여 어업 및 해수욕객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바다동물 접촉 독성환자 추이바다동물 접촉 독성환자 추이


특히 올해 7월 2주째 노무라입깃해파리 출현율은 작년에(7.94%) 비해 2배 이상 높은 20%로 크게 증가해 피서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3년간 해파리 등 독성 바다동물과의 접촉해 발생한 환자는 총 2,216명으로 7월부터 급증해 8월에 가장많이 발생하고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보름달물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작은부레관해파리


강독성 해파리에 쏘인 경우 꿀벌에 여러번 쏘인 정도의 통증이 있으며, 가느다란 줄 모양의 상처가 생기거나 심한 경우 부종, 발열, 근육마비, 호흡곤란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바닷물로 세척하고 온찜질(45℃)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심한경우에는 병원으로 이송해 응급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상처를 문지르거나, 수돗물이나 알코올로 세척하는 것은 독을 더 퍼지게 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바다에서 물놀이 중에 해파리가 나타나면 물놀이를 자제해야한다”며 “바다에는 해파리뿐만 아니라 독성 생물이 많아 잘 알지 못하는 생물은 만지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