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KB.신한금융 상반기 깜짝실적... '리딩 금융그룹' 경쟁 불 붙었다

KB금융 선제적 충당금적립 주효

순익 작년보다 20%↑ 1조1,254억

신한금융 순익 13% 늘어 1.4조

비은행 부문 부진 속 1위 지켜

KB, 현대증권 등 지분율 높이면

신한금융 턱밑까지 추격 가능성

2215A10 신한KB당기순이익2215A10 신한KB당기순이익


KB금융이 시장의 전망치를 뛰어넘는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며 신한금융과 ‘리딩금융그룹’ 경쟁에 불을 붙였다. 신한금융 역시 이날 1조4,000억원이 넘는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발표하며 리딩 금융사의 위상을 뽐낸 만큼 양자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KB금융이 차후 KB손해보험과 현대증권 등의 지분율을 더 높일 경우 신한금융을 턱밑까지 추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양사의 자존심 대결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KB금융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조1,2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367억원)보다 20.1% 증가했다. 최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7,432억원을 기록해 지난해(7,302억원)보다 1.8% 늘었다. KB금융의 순이자마진(NIM)도 개선됐다. KB금융의 2·4분기 NIM은 지난 분기보다 0.01%포인트 증가한 1.85%를 기록했다. KB국민은행 역시 NIM이 지난 분기보다 0.02%포인트 증가한 1.58%를 나타냈다. KB국민은행의 자본적정성 관련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추정치는 15.94%를 기록했다.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1.10%에서 6월 말 0.95%로 0.15%포인트 하락했다.

이처럼 KB금융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문제성 있는 여신 규모가 크지 않은데다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아놓았던 덕분이다. KB금융은 2·4분기 SMP와 한진해운 등에 충당금 1,945억원을 쌓는 데 그쳤다. 상반기 전체로는 3,13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1.6%(1,451억원)나 감소했다. 또 지난해 희망퇴직비 소멸 등으로 일반관리비가 감소한 영향도 크다. 상반기 일반관리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줄어든 2조1,230억원을 기록했다.


신한금융 역시 이날 1조4,000억원이 넘는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발표하며 ‘리딩 금융사’로서 위상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저금리 기조에도 신한은행의 NIM이 2분기 연속 개선되며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신한금융은 올 상반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3% 증가한 1조4,54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4분기 당기순이익만 떼놓고 보면 6,834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1.4% 줄었지만 1·4분기 법인세 환급 효과를 제외하면 22%가량 늘었다는 것이 신한금융 측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신한은행의 NIM은 전 분기보다 0.02%포인트 개선된 1.50%를 기록했고 대출 잔액 또한 지난해 말보다 3.9% 늘어나는 등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비용 부문을 안정적으로 관리한 점도 눈에 띈다. 최근 성과연봉제 도입 등으로 이슈가 되는 판매관리비 항목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올 상반기 구조조정 이슈 등으로 들썩거렸던 대손비용은 전년보다 2.6% 감소했다.

비은행 부문에서는 예상보다 실적이 저조했다. 신한카드(3,552억원), 신한생명(876억원)은 양호한 실적을 내놓았지만 신한금융투자가 지난해 상반기보다 59.7% 감소한 50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또 신한캐피탈도 순익이 20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비은행 부문 당기순익은 지난해보다 11.4% 감소한 5,313억원에 그쳤다.

신한금융의 비은행 자회사들이 부진한 실적을 내놓으면서 KB금융은 ‘리딩금융그룹’으로 쫓아갈 기회가 생겼다. KB금융이 앞으로 KB손해보험과 현대증권 등의 지분율을 더 높인다면 신한금융의 당기순이익에 근접할 것이라는 평가다. KB금융은 현재 KB손해보험(33.3%), KB캐피탈(52%), 현대증권(29.6%) 등의 지분율이 낮아 지배기업지분 순이익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정태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KB금융의 비은행 부문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KB국민카드를 제외하면 KB금융 내에서 비은행 부문의 이익 비중은 15%를 넘지 못하고 있다”며 “현대증권과 KB손해보험·KB캐피탈 지분을 모두 인수해 완전 자회사로 바꾸면 연간 이익 규모는 2조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강동효·양철민기자 kdhyo@sedaily.com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