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난정연회> 왕희지 '난정서' 탄생과정부터 진위논란까지

■하태형 지음, 한길사 펴냄



‘난정서(蘭亭序)’는 중국인들이 국보 1호 수준으로 높게 평가하는 서예 작품이다. 중국 동진시대(317~419년) 명사들이 지은 시(詩) 모음집인 난정서는 당대 중국 귀족문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뛰어난 작품성으로 ‘천하제일행서’, ‘무가지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모든 서예작품 가운데 최고봉이고 돈으로 가격을 매길 수 없다는 뜻이다.

이 난정서는 당 태종이 가장 아끼고 존경했던 서성(書聖) 왕희지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당 태종은 왕희지의 글씨 중에서도 특히 난정서를 좋아해 이를 자신이 죽을 때 함께 묻도록 했다고도 전해진다.


왕희지가 353년 3월 저장성 사오싱의 ‘난정’이라는 곳에서 연 대규모 연회 ‘난정연회’에 사안·손작 같은 명사들이 모여 시를 지었는데, 이 자리에서 만든 시를 모은 뒤 왕희지가 서문을 써 펴낸 게 바로 난정서다. 다만 원본은 전해지지 않은 채 베껴 쓴 유명 필사본만 500여 종에 달하는 까닭에 ‘난정서는 왕희지가 쓴 것이 아니다’라는 진위논란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관련기사



현대경제연구원장을 지낸 저자는 10여년 간 난정서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난정서는 왕희지의 저작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을 펼친다. ‘난정서가 위작’이라는 중국 학자 곽말약의 논문을 중심으로 추사 김정희의 논지까지 살펴가며 주장의 진위 여부를 검증한다. 저자는 양나라 소명태자가 천하의 명문장을 모두 모아 펴낸 ‘문선’(文選)에 난정서가 실리지 않은 점, 연희 중에 쓴 난정서에는 도교의 인생무상을 이야기하는데 나중에 쓴 난정서에는 도교를 비판하고 있는 점 등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책은 왕희지가 난정서를 썼느냐의 진위 검증과 함께 이 작품의 탄생과정과 내용, 난정연회 문화에 이르는 방대한 정보를 정리하고 있다. 3만원.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