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강남3구 전세가 약세 여파..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7년 6개월만에 하락

강남3구 전세가 약세 여파..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7년 6개월만에 하락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7년 6개월만에 하락했다.

KB국민은행이 올해 7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이달 들어 0.3%포인트 하락한 74.8%를 기록하며 7월 5개월의 상승세가 꺾였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09년 2월 38.3%로 조사된 이후 △2011년 10월 50.5% △2013년10월 60.1% △2016년 6월 75.1% 등 지속해서 상승해왔다.


특히 강남지역의 전세가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강북지역의 경우 전세가율이 서울 평균(74.8%)을 웃도는 78.2%로 조사된 반면 강남지역은 지난달 보다 0.4%포인트 하락한 72.0%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강동구가 6월 72.9%에서 7월 72.1%로 0.8%포인트 하락하여 전세가율 하락이 두드러졌고, △강남구 0.7%포인트 △송파구 0.5%포인트 △서초구 0.5%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 80%대는 △성북(84.3%) △성동(80.9%) △구로(81.6%) △중구(80.4%) △관악(80.1%) △서대문(80.0%) 등 6곳이었다.

이달 전국 전세가율도 상승세를 멈추고 지난달과 같은 75.4%로 조사되었다. 전국 전세가율은 2013년 5월 63.5%를 기록한 이후 3년 2개월 동안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었다.

이달 서울 전세가율이 하락한 것은 이달 전세가격 상승률(0.24%)이 매매가격 상승률(0.54%) 보다 낮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남 3구 중 강남구와 송파구가 각각 0.04%, 0.08% 하락하며 전세가격 하락세를 주도했고, 서초구는 0.06% 상승에 그쳐 올 들어 최저 상승폭을 기록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계절적인 비수기에 접어든 데다 그동안 전세가격이 크게 상승한 강남지역의 경우 재건축 단지의 이주 수요 감소요인이 있었다”며 “위례신도시 및 미사강변도시 입주 물량 과다의 영향으로 전세 물건 소진 속도가 점차 늦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