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탓·변명으로 채운 '메르스 반성문'

복지부 '메르스 백서' 발간

"리더십 없었다" 인정 불구

SNS괴담·지자체 비협조

불안 확산 원인으로 지목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대응 과정 전반에서 ‘책임지는 리더십 부재’ 등의 문제가 있었음을 공식 인정했다. 하지만 국민 불안이 커진 요인으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괴담 유포’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의 비협조’ 등을 지목했다. 186명의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유례없는 감염병 대참사였지만 보건당국은 반성보다 변명에 급급했다.

복지부가 사실상의 메르스 종식(2015년 7월6일)을 선언한 지 1년여 만인 29일 ‘메르스 백서’를 발간했다. 본문 473쪽, 부록 659쪽 등 총 1,132쪽 분량의 백서는 정부의 메르스 사태 대응 과정에 대한 서술과 민간(46명)·정부 관계자(245명)의 평가와 제언 등을 담고 있다.


백서는 먼저 메르스 사태가 확산된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리더십의 부재를 꼽았다. “전체를 보고, 정리하고, 답을 내고, 지침에 안 나와 있는 결론을 낼 수 있는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 그런 사람이 우리나라에는 없다”는 게 질병관리본부 관계자의 증언이다.

관련기사



백서는 당시 국민적인 불신이 고조된 이유를 언론과 SNS 탓으로 돌렸다. 백서는 “지난해 5월 말부터 인터넷과 SNS를 통해 괴담이 급속히 유포됐다”며 “적시에 대응하지 못해 국민 불신이 높아져갔다”고 기술했다. 심지어 한 민간 전문가는 “메르스 감염은 바이러스 감염이 아니라 SNS 감염이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일부 보도를 기점으로 정부 조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훼손되기 시작했다”고 책임을 돌렸다.

서울시를 탓하는 모습도 보였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당시 삼성서울병원 환자와 관련해 브리핑한 점을 언급하면서 “보건당국을 중심으로 단일한 목소리를 내는 ‘원보이스’ 원칙이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이러다 보니 1,1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메르스 백서에는 ‘반성’이나 ‘사과’ 같은 단어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복지부는 “백서는 국가 방역체계 개편을 보완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임지훈기자 jlh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