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상반기 유학연수 해외지급액 15.7억달러…3년새 18%↓

한국인 유학생 감소 영향…유학연수비 적자는 ‘여전’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 유학 및 연수비로 나간 돈이 전년 대비 7% 넘게 줄었다. 유학생이 감소한 게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인 유학생(어학연수·교환학생 포함)의 학비, 체류비 등으로 해외에 빠져나간 금액은 15억7,970만달러(한화 약 1조8,700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7억900만달러) 보다 7.6%(1억2,930만달러) 감소한 수치다.

매년 상반기 기준 유학·연수 지급액은 2012년 18억9,660만달러에서 2013년 19억2,860만달러로 늘었다가 2014년 17억2,620만달러로 줄어든 이후 3년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올해 상반기 유학·연수 지급액을 2013년과 비교하면 3년 새 18.1%(3억4,890만달러)나 급감했다. 통상 미국 등 외국에서는 첫 학기를 가을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유학·연수 지급액은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집중된다.


연간 유학·연수 지급액은 2013년 43억690만달러에서 2014년 37억2,210만달러, 지난해 36억8,620만달러로 2년 연속 줄었다. 이는 해외에서 공부하는 한국인 유학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집계하는 한국인 유학생(대학 이상)은 2011년 26만2,465명을 정점으로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줄었다. 지난해 한국인 유학생은 21만4,696명으로 2014년(21만9,543명)보다 2.2%(4,847명) 감소했다. 과거와 달리 외국에서 학위를 따도 국내 취업 등에서 장점이 줄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교육비 부담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고등학생 이하의 조기유학 분위기도 크게 꺾였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2014년 3월부터 작년 2월까지 유학을 목적으로 출국한 초·중·고등학생은 1만907명으로 전 학년도보다 12% 감소했다. 조기 유학생 규모는 2006학년도와 비교하면 8년 만에 3분의 1수준으로 축소됐다. 저출산 여파로 학생 수가 줄고 있고 유학 열기가 식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유학·연수 지급액은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유학·연수비에서 적자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6월 국내에서 공부하는 외국인들이 낸 유학·연수 수입액은 5,580만달러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유학·연수비 적자는 15억2,390만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상반기(16억5,890만달러)보다는 8.1%(1억3,500만달러) 줄어든 규모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