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포켓몬 고' 전국서 플레이 될까…구글, 8일 지도 반출 입장표명

정부 '실질적 불허' 가능성 커지자

협의체 회의 전 토론회 참가 자청

막판 '반전카드' 내놓을지 관심

네이버측, 반대 토론자로 참여





지난 6월 구글이 요청한 한국지도 반출 여부를 심의할 정부의 ‘지도국외반출협의체’ 회의(12일)를 앞두고 국회에서 8일 열리는 관련 토론회에 구글이 자청해 입장표명을 하기로 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등의 ‘지도국외반출협의체’가 오는 25일 데드라인을 앞두고 지도 반출을 실질적으로 불허할 기류가 엿보이는 상황에서 구글이 막판 어떤 반전카드를 제시할지 주목된다.


하지만 이날 구글 발표 뒤 네이버의 윤영찬 부사장이 토론자로 참여해 구글 논리를 반박할 예정이어서 국내외 인터넷 기업 간 설전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8일 이우현 새누리당 의원과 민홍철 더불어 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하는 ‘공간정보 국외반출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 토론회에 구글이 ‘공간정보활용을 통한 혁신’을 주제로 발표하겠다고 나섰다. 주최 측 관계자는 7일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구글 쪽에서 ‘2010년 국토지리정보원에 지도반출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며 이번 토론회 참여를 적극 요청해 왔다”며 “조세 회피, 데이터센터 설립 문제 등 오해가 있는 부분에 대해 적극 해명할 것 같다”고 전했다.

발표는 미국 구글 본사의 권범준 구글지도 프로덕트 매니저가 맡는다. 그는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Pokemon Go) 열풍을 들며 △GIS(지리정보시스템) 콘텐츠 사업 활성화로 인한 한국 산업 효과 △한국을 찾는 관광객의 편리성 △글로벌 서비스의 국내 도입 확대에 따른 소비자 편익을 강조할 방침이다. 지도 데이터 반출이 이뤄지면 구글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서비스하는 한국 스타트업의 가치가 커지고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관광객들도 더 편리해질 것이라는 게 구글 측 입장이다. 안보 우려에 대해서는 구글이 반출 허가를 신청한 데이터는 어떤 민감한 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최재원 다음소프트 이사가 구글이 처음 한국 지도 반출을 신청한 2010년에 비해 달라진 점을 발표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정혜진기자 madein@sedaily.com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