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濠연구팀 "온라인 게임하면 10대 성적 올라"

온라인 게임, 문제 해결·분석적 사고에 도움…“수업에 접목해야”

SNS하면 성적 떨어져…"시간 투자 대비 효과 거의 없어"

온라인 게임이 10대들의 학업 성적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9일(현지시간)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커뮤니케이션(IJC)’은 호주 로열멜버른공과대학(RMIT) 연구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하는 15세 학업성취도평가(PISA)의 호주 학생 성적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온라인 게임이 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독해 과목의 성적 향상에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거의 매일 규칙적으로 게임을 하는 학생들의 과학 성적이 평균보다 17점이나 높았다. 이에 RMIT 경제학자인 앨버트 포소 부교수는 “아마도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게임의 경우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및 분석적 사고와 같은 능력을 적용하거나 향상 시킬 기회를 주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때때로 학생들이 게임을 하다보면 화학의 원칙들을 이해해야 하는 등 과학을 배우게 된다는 것.

관련기사



또 게임을 하는 학생은 수학과 독해에서도 평균보다 각각 15점이 높았다. 보고서 공동저자인 포소 부교수는 “폭력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 않은 한 이들 게임을 배척하지만 말고, 수업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이용해야 한다”며 “이들 또래 집단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이 약간 더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를 매일 하는 학생들은 이를 전혀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수학 성적이 20점 가량 낮았으며, 과학과 독해도 비슷한 정도로 뒤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과도한 소셜미디어 이용이 공부할 시간을 빼앗고 생산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지 않아, 투자 대비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OECD 주관 15세 학업성취도평가(PISA) 시험을 보는 학생들./출처=연합뉴스OECD 주관 15세 학업성취도평가(PISA) 시험을 보는 학생들./출처=연합뉴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