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대통령 탄핵'에 '정권교체'까지 언급...中 도넘은 '사드 압박'

북경청년보 "한국 분열 위기...정권 바뀌어야 해결"

인민일보 영문판은 "사드, 탄핵으로 이어질수도"

관영매체 외교관계 금도 넘는 발언 여과없이 보도

블룸버그·NYT "中, 한류·경제제재 조치 취할 것"



중국 정부가 관영매체들을 동원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열기로 다소 수그러들었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압박 공세의 고삐를 다시 바짝 조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가능성을 제기하고 정권교체만이 사드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주장하는 등 정상적인 외교관계의 금도를 넘은 언급들을 여과 없이 국영매체들을 통해 쏟아내고 있다.


중국 관영 북경청년보는 15일 “사드 문제로 한국이 돌아올 길이 없어졌다”면서 “이 같은 위기를 해결하려면 정권교체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긴 리둔추 저장대 한국연구소 교수의 기고문을 실었다. 북경청년보는 리커창 총리가 몸담았던 중국 공산주의청년단의 기관지다. 리 교수는 “사드 배치가 한국에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면서 “정부와 국민이 서로 비방하는 한국은 현재 난세”라고 표현했다. 그는 또한 “국회 비준을 거치지 않고 사드를 배치하겠다고 한 것은 민주국가의 근본을 뿌리째 흔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극보수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이날 “사드 배치로 한중 간 밀월관계는 끝났다”면서 “양국은 장밋빛 안경을 벗고 정치적으로 서로의 실력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어 “최근 한국 언론들이 사드와 관련해 대국의 보복이 시작됐다는 식으로 떠들고 있지만 중국은 아직 한국에 대해 공식 제재를 발표한 게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중국중앙TV(CCTV)도 오전 뉴스에서 올림픽 실시간 보도를 중단한 채 최근 사드 반대 활동을 위해 한국에 입국하려다 거부된 한국계 미국인 이현정씨의 인터뷰를 보도하고 한국 내 반대 여론을 집중 부각시켰다.

관련기사



이에 앞서 지난 13일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막고 있다면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도 이뤄질 수 있다”는 더불어민주당의 김상곤 당 대표 후보의 토론회 발언을 전하면서 ‘사드가 박 대통령을 탄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제목을 달아놓았다.

중국의 이 같은 전방위 한국 압박 움직임이 가속화하면서 K팝 등 한류와 한국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규제조치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분석마저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12일(현지시간) 중국이 삼성SDI와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를 모범규준 인증 명단에서 제외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도 14일 한류가 중국 사드 보복의 첫 희생자가 될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NYT는 중국 관영매체들이 최근 한국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을 일제히 비판하는 한편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 방송 출연을 금지해야 한다는 취지의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14일 익명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한국의 사드 배치를 막기 위해 수입 규제와 한국에 대한 투자 제한, 한국 기업 인수합병(M&A) 연기 등의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다음달 초 항저우 주요20개국(G20) 회의를 앞두고 중국의 사드 때리기가 다소 잦아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관영매체들이 마치 입을 맞춘 듯 일사불란하게 다시 사드 여론전에 나서고 있다”면서 “한중 관계의 회복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