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인, 46년간 육류소비 9배 폭증…쌀 섭취량은 절반으로 줄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더위와 한우 가격 상승이 맞물리면서 돼지고기와 닭고기 값이 폭등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권욱기자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더위와 한우 가격 상승이 맞물리면서 돼지고기와 닭고기 값이 폭등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권욱기자


우리나라 사람들의 육류 소비량이 최근 약 50년간 9배 폭증했다. 반면 식습관 변화에 따라 쌀 소비량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15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가 발간한 ‘NH 축경포커스’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평균 47.6㎏을 기록했다. 육류 소비량이 1970년 5.2㎏에 불과했던 사실을 감안하면 46년간 약 9배 이상 증가했다.

관련기사



과실류 소비량도 크게 늘었다. 축산경제리서치센터는 과실류는 1970년 대비 약 7배, 채소와 수산물은 각각 2~3배 뛴 것으로 분석했다. 육류와 과실 소비량이 늘어난 이유는 1970년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채소와 곡류 위주의 식습관이 변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특히 영양과 생활 여건이 개선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격이 커진 것도 축산물의 소비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1960년까지 해도 166.4㎝이던 20세 기준 성인 남성의 평균 키는 지난해 174.9㎝로 8.5㎝ 커졌고 여성도 153.8㎝에서 162.3㎝로 평균 시장이 늘었다.

반면 쌀 소비량은 오히려 반 토막이 났다.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2.9㎏으로 1970년(136.4㎏)보다 54% 감소했다. 이는 식습관이 육류와 밀가루 위주로 서구화된 데다 한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가 생기면서 사람들이 끼니마다 꼭 ‘쌀밥’을 먹지 않기 때문이다.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는 “식생활 서구화 현상이 지속되면 식량자급률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며 “국산 농축산물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