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주거복지서비스 향상하려면…"주택개량사업 지원 확대와 정보제공 등 강화해야"

부산발전연구원 BDI 정책포커스서 이같이 주장

부산 지역 서민 주거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 주거복지센터 설치, 주거복지사 양성 및 활용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6일 BDI 정책포커스 ‘서민 주거복지서비스를 향상하려면’이라는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서민 주거복지서비스 향상 방안을 제시했다.


주거복지서비스는 취약계층을 포함해 주거문제를 가진 지역주민이 주거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및 상담, 주거유지를 위한 주택개량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런데 부산시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주택개량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반면 정보제공이나 상담 등 일상생활에서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는 부족한 실정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동현 선임연구위원은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택개량사업 지원 확대와 함께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을 강화해야 한다”며“이를 위해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주거복지사 양성 및 활용, 부산시 기술교육원 설립, 지역 자활기업 육성, 마을단위의 주택개량사업 실시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주거복지센터는 시행 중인 주택 개·보수 사업을 파악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 주민들의 경제적 여건과 욕구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사업을 소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자력으로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복지 차원에서 주거서비스를 지원하는 전문인력인 주거복지사를 활용해야 할 것”이라며“기존 부서에 주거복지업무를 추가하는 식으로는 전문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시·군·구에 독립된 주거복지 행정조직을 구축하고 주거복지사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주거복지 관련 기술교육을 하는 ‘부산시기술교육원’을 설립하는 것도 고려할만하다”고도 제안했다.

부산발전연구원이 최근 주민 12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9.4%가 ‘부산시 차원에서 관련 정보제공, 주거환경개선 지원, 사후 관리 등 종합적인 주거지원사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