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운영 3년…243건 지원에 2,500명 참여

2020년까지 총 1조5,000억원 지원

삼성은 국가 미래과학기술 육성을 위해 운영해 온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16일로 3주년을 맞았다고 밝혔다.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은 사업 관련성이나 별도의 대가 없이 민간기업이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연구비를 제공하는 최초의 연구개발 지원 사업이다. 삼성은 지난 2013년 8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를 설립하고 국가 과학기술 연구에 2022년까지 10년 간 총 1조5,00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한 바 있다.


삼성은 그동안 기초과학 분야 92건, 소재기술 분야 59건, ICT 분야 60건, 신기술·미래기술 분야 32건 등 총 243건의 연구를 지원했다. 연구에 참여한 인력은 교수급 500여 명을 비롯해 총 2,500여명에 달한다.

관련기사



특히 삼성은 대가 없이 특허 등 연구과제 성과물을 연구자가 소유하도록 해 연구자가 스스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 연구자에게 연구 기간, 절차 등 최대한 자율권을 부여하고 형식적인 보고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는다. 지원과제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연구자에게 책임을 묻는 대신, 실패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도록 해 도전과 혁신을 장려하고 있다.

사업 운영 기간이 3년을 넘어서면서 보다 심화된 연구로 과제를 발전시키고 연구 결과물로 사업화를 추진하는 성과도 나고 있다. 황인환 포스텍 교수는 ‘식물에서 의료용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 샐러드를 먹으면서 비만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과제’로 2013년 1차 지원을 받아 연구를 진행한 후 후속 심화 연구를 위해 2015년 2차 지원을 받았다. 2014년 ‘인공 번개 발전기 및 에너지 소실 없는 전하펌프 개발’ 과제로 지원을 받은 백정민 UNIST 교수는 연구 성과를 사업화하 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개량특허를 다수 출원하기도 했다.

삼성은 공익차원의 연구개발 지원을 지속하고 연구 성과의 사업화와 상용화를 위해 ‘산학연 연계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연구자가 자율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형식과 절차를 더욱 축소해 ‘더욱 믿고, 맡기며, 소통하는 열린 연구지원 체계’를 강화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