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자동차가 건강 진단하는 시대 준비하는 삼성전자

전장 기술에 바이오 센서 접목 특허 출원

삼성전자가 자동차 전장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자의 건강 상태까지 확인해 진단하는 기술까지 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에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정보기술(IT) 부품에 대한 특허 3건을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3건 모두 자동차가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고 운전자 정보를 아는 것과 관련이 있다.

우선 자동차 내 룸미러에 부착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운전 중 자연스럽게 룸미러를 보면 카메라가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건강 상태나 현재 상황 등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운전자의 눈의 열림 상태와 얼굴 방향 등을 감지하고 운전자가 졸음 운전이나 곁눈질을 하면 경고음으로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운전대를 통해 운전자의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기술도 특허를 출원했다. 심전도 측정은 이미 삼성전자의 스마트 밴드 기어핏 등에 이용되는 기술이다. 운전대를 잡고 있는 운전자의 손을 이용해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심전도 정보는 모바일 기기와 연결돼 문제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의료기관에 통보되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안전벨트를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도 눈길을 끈다. 안전벨트를 잡아당기는 힘을 통해 운전자의 허리둘레, 체지방 등을 파악한다.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체형으로 인지하는 방식이다. 운동 코치나 건강관리까지 안내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미래 자동차가 IT 기술과 접목돼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오랜 기간 동안 전장 관련 기술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인 바이오센서(프로세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동차를 이용해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 수요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율주행차시대가 오더라도 운전자가 정기적으로 차량에 탑승해 각종 기기를 조작하는 순간이 자신의 건강을 체크하는 순간이 될 수 있다”며 “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관련 기술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의 지적재산권(IP) 전문 사이트인 IP워치도그가 상위 20개 기업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미국 특허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9%를 보유해 8위를 차지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