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자원부국 몰락 반사익...韓 경제규모 세계 11위 복귀

작년 GDP 2.4% 감소했지만

러·호주 뒷걸음에 순위 상승

1인당 GNI는 2만7,740弗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9년 만에 세계 11위에 복귀했다. 호주·러시아 등이 원자재 가격 급락으로 추락한 데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다.

16일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지난 2015년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조3,779억달러(약 1,500조원)로 캐나다(1조5,551억달러)에 이어 11위를 차지했다. 한국 GDP 순위는 2000년대 초중반까지 계속 상승했다. 2001년 12위에서 2002년부터 3년간 11위를 차지했고 2005년에는 10위로 올라서 10위권 내 진입도 넘봤다. 하지만 2006년 11위, 2007년 13위, 2008년 15위로 미끄러졌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연속 14위에 머물다 2014년 13위로 올라섰다.


한국 GDP 순위가 올라간 것은 한국이 약진한 것이 아니라 경쟁국의 GDP가 대폭 감소한 결과다. 실제 지난해 우리 GDP는 2014년(1조4,113억달러)보다 약 2.4% 쪼그라들었다. 원화 기준 GDP는 불어났지만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 약세)하면서 달러기준 GDP는 감소했다. 반면 국제유가·철광석·구리 등의 가격 급락세가 계속되면서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러시아의 GDP는 1조3,260억달러로 34.7%나 급감했으며 호주도 1조3,396억달러로 7.9%나 줄었다. 그 결과 2014년 10위였던 러시아는 지난해 13위로 밀렸고 호주도 2년 연속 12위에 머물렀다.

관련기사



전 세계 각국의 경제규모 순위를 보면 역시 미국의이지난해 명목 GDP 17조9,470억달러로 1위를 지켰다. 중국이 10조8,664억달러로 2위였고 일본이 4조1,233억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독일(3조3,558억달러), 영국(2조8,488억달러), 프랑스(2조4,217억달러), 인도(2조735억달러), 이탈리아(1조8,148억달러), 브라질(1조7,747억달러)이 이었다.

한편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9년째 2만달러대에 갇혔다. WB가 집계한 지난해 한국 1인당 GNI는 2만7,740달러로 2007년(2만2,460달러) 첫 2만달러를 돌파한 후 계속 2만달러대에 머물렀다. 세계 46위로 2014년보다 4계단 미끄러졌다. 나라마다 다른 물가수준을 반영해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한국의 1인당 GNI는 3만4,700달러로 48위였다. 2014년 42위에서 6계단 하락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