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서울경제TV] 수도권 분양시장, 대출 규제 후 ‘양극화 심화’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 큰폭 감소

집단대출 규제 이후 청약 양극화 심화

국지적 ‘공급과잉’ 우려도

2010년~2016년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 / 자료=부동산1142010년~2016년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 / 자료=부동산114




최근 3년 사이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한편에선 집단대출 규제 이후 단지 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어 국지적인 공급과잉도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1월~8월12일 누적) 수도권 내 청약 미달단지는 24곳으로 전체 130곳의 18.5%를 나타냈다.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은 2010년(56.91%), 2011년(60.61%), 2012년(48.24%), 2013년(46.09%) 높은 비중을 나타냈지만, 2014년(25.50%), 2015년(15.90%)엔 큰 폭의 개선을 보였다. 이후 2016년에도 분양시장으로 투자수요가 쏠리며 우호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서도 서울의 미달단지 감소현상은 더욱 뚜렷하다. 2010년 서울에서 47개 단지가 분양했지만 19개 단지의 청약이 미달됐다. 반면, 2015년에는 50개 단지 중 단 2곳만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1월부터 8월까지 전체 23개 분양 단지 중 2개 단지만 청약 미달로 기록되면서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의 미달단지는 매우 희소하다. 강서구 마곡지구 이후 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중심으로만 신규물량이 분양되면서 수요 대비 일반공급이 적은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 중심의 공급이 아닌 신도시나 공공택지 중심으로 분양되는 경기도 일대는 미달단지 비율이 점차 늘어나는 분위기다. 2016년 청약 미달된 전체 24개 단지 중 21곳이 경기도에서 나왔다. 경기도는 택지지구 공급 중심으로, 전체 가구가 일반에 모두 분양돼 수요대비 공급이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단기간 공급이 크게 늘었던 경기도 용인과 화성, 평택, 안성 등에서는 청약미달 단지와 미분양주택이 동반해 늘어나고 있다.

관련기사



아직은 우호적인 분양시장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가 시작된 이후 수도권 청약시장의 단지 별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되는 모양새다.

상반기에는 대출규제가 덜한 분양시장에 청약수요가 다수 유입됐지만, 정부의 집단대출 규제 이후에는 입지환경이나 분양가 매력이 높은 알짜 단지를 중심으로만 청약수요가 쏠리고 있다. 이 때문에 단기간 공급이 크게 늘었던 경기도 용인, 화성, 평택, 안성 등에서는 청약미달 단지가 늘어나는 반면, 수요대비 공급량이 여전히 부족한 서울은 수십 대 일의 청약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수도권 청약시장의 단지 별 양극화는 경기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공급과잉을 유발해 2017년~2018년 수도권 입주물량 증가와 더불어 준공 후 미분양주택에 대한 우려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미분양이 3개월 이상 추세적으로 늘어나는 지역 등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청약 접수 판단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