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여전히 힐러리 맴도는 'e메일 스캔들' 망령

FBI, 1만5,000건 추가 발견

클린턴재단 로비창구 역할 의혹도

트럼프 "특검 수사" 공세

힐러리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사진=AP연합뉴스힐러리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사진=AP연합뉴스


경쟁자인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의 ‘셀프 사보타주’로 미국 대선 가도를 질주하던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또다시 e메일 스캔들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국무장관 시절 개인 e메일 3만건이 문제 된 데 이어 추가로 1만5,000건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함께 만든 클린턴재단이 자금모집에 힐러리 클린턴의 국무장관 자리를 이용했다는 의혹도 커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월스트리트 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연방수사국(FBI)은 클린턴이 국무장관 시절 사설 서버를 통해 주고받은 e메일 1만4,900건을 추가로 발견했다. 지난 2014년 클린턴 측 변호사들은 클린턴이 국무장관 시절에 주고받은 개인 e메일 중 업무와 연관된 3만건을 국무부에 제출했는데 FBI가 여기서 제외된 약 1만5,000건을 새로 찾아내 연방판사에게 제출한 것이다. 보수 시민단체인 ‘사법감시(Judicial Watch)’가 클린턴의 e메일에 대해 정보공개를 청구한 데 따른 것으로 사법당국은 국무부에 e메일을 검토해 공개 여부를 결정하라고 명령했다.


클린턴의 대선 캠페인 내내 아킬레스건으로 자리한 ‘e메일 스캔들’이 다시 도진 형국으로 사법감시는 선거일인 오는 11월8일 이전에 e메일을 공개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e메일 스캔들은 클린턴이 국무장관 시절 개인 서버로 비밀정보를 포함한 공문서를 주고받은 사건으로 법무부와 FBI가 장기간 수사 끝에 지난달 불기소 결정을 내렸지만 클린턴이 기밀정보 관리에 “극히 부주의했다”는 FBI 국장의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관련기사



사법감시 측은 클린턴의 국무장관 시절 클린턴재단이 고액 기부자들의 로비 창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시사하는 e메일도 공개했다. e메일에는 재단 관계자가 클린턴 장관의 최측근에게 고액을 기부한 바레인 왕세자와 클린턴의 면담을 주선하는 내용과 또 다른 고액기부자의 부탁에 외국인의 비자 발급을 도우려 한 내용 등이 담겼다.

무슬림계 전사자 가족 비난 등 온갖 막말로 지지율이 내리막길을 걷던 트럼프는 클린턴의 e메일 스캔들이 다시 부각되자 즉각 포문을 열었다. 트럼프는 이날 성명에서 “사기꾼 힐러리가 국무장관 시절에 했던 일은 잘못된 것이며 지금도 잘못됐다” 며 “클린턴재단은 문을 닫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법망을 피해온 클린턴재단의 후원금 모금활동에 대해 “법무부가 아닌 특별검사를 임명해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