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중일 외교 냉기류..."장관회의 공동발표문 없다"

사드·남중국해 문제 등 이견

각국 외교장관 발언만 예정

제8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하루 앞두고 23일 일본 도쿄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 앞서 윤병세(오른쪽부터)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서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제8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하루 앞두고 23일 일본 도쿄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 앞서 윤병세(오른쪽부터)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서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될 한국·중국·일본 외교장관회의를 앞두고 냉기류가 흐르고 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외교장관회의에서 공동언론발표문은 채택하지 않을 예정이고 회의 직후 열리는 공동기자회견에서 각 외교장관이 발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 배경에 대해서는 “이번 회의가 촉박한 일정으로 개최돼 공동언론발표문에 대한 충분한 협의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지난 2012년 4월 중국 닝보에서 개최된 3국 외교장관회의에서도 당시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광명성 3호 발사에 대한 대응 방안에 합의를 이루지 못해 공동언론발표문 채택이 이뤄지지 않았던 사실을 감안하면 3국이 이번 회의를 앞두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남중국해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결과로 분석된다.

21일 일본 도쿄에서 3국 차관보급 인사들이 외교장관회의 일정·의제의 최종 조율을 위해 모인 고위급회의 직후 외교부가 공개한 보도자료에서도 사드 배치에 대한 한중의 입장차가 드러난다. 외교부는 “사드 배치 문제에 관한 양측의 기본입장을 교환했고 우리 측 수석대표인 김형진 차관보가 특정 사안으로 인해 양국 관계발전이 저해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으나 중국 측의 반응은 언급하지 않았다.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중국 측의 기본입장에는 변함이 없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난해 3월 서울에서 열린 3국 외교장관회의에서는 3국 정상회의를 조기에 개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언론발표문이 채택됐고 11월 3국 정상회의 개최로 이어졌다. 여기에서 3국 정상회의 개최의 정례화에 합의함에 따라 이번 외교장관회의에서도 올 하반기 3국 정상회의 개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주요 현안에 대한 3국의 입장차가 올 하반기 3국 정상회의 개최와 관련해 어떠한 결론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