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비과세 해외펀드의 굴욕

반년만에 신규 자금유입액 5분의1 수준 '뚝'

안정 상품 선호에 수요 크게 줄어







비과세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의 인기가 출시 반년 만에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변동성 높은 주식형펀드보다 채권형펀드로 옮겨가면서 자금 유입도 5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23일 에프앤가이드와 금융투자협회 등에 따르면 올 들어 해외 주식형펀드에서 총 2,624억원이 빠져나가면서 비과세 해외펀드의 가입 금액도 지난달 224억원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29일 비과세 해외펀드가 출시된 후 첫 한 달간 2,508억원이 몰린 데 이어 6월까지 매월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유입됐지만 반년여 만에 신규 유입액이 5분의1 수준으로 뚝 떨어진 셈이다.

이와 관련해 금투협은 일부 투자자들이 중국·베트남펀드 등 수익률이 높은 펀드를 환매해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신규 자금 유입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3월부터 8월 사이 ‘KB중국본토A주’의 수익률은 13.96%, ‘한국투자베트남그로스’의 수익률은 8.93%를 기록하는 등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시장 상황과 겹쳐 비과세 해외펀드의 수요 자체가 사그라들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삼성증권 상품개발팀의 한 관계자는 “최근 시장은 리스크를 피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으로 쏠리는 분위기”라며 “해외펀드 역시 주식형보다는 채권형·배당형펀드가 인기”라고 설명했다. 비과세 혜택도 마다하고 안정적인 상품으로 투자자들이 몰린다는 이야기다. 올 들어 해외 채권형펀드로는 1조64억원이 몰렸다.

관련기사



이밖에 ‘신상품 출시 효과’가 사라졌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가입할 만한 투자자는 이미 다 가입한 것으로 본다”며 “내년 말께 ‘절판 마케팅’을 기대해볼 수는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말까지 비과세 해외펀드의 누적 가입 규모는 6,693억원이다. 내년 말까지 가입해야 10년 동안 총 3,0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새로 비과세 해외펀드를 출시해도 소규모 펀드 신세를 면하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또 다른 운용사 관계자는 “판매사들도 비과세 해외펀드 마케팅에 큰 관심이 없어 더더욱 투자자 모집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