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다가오는 美금리인상…한국경제 여파는

해외자금 유출 우려…신흥국 수출에도 악재 요인

원달러 환율급락 우려덜듯…한은 금리인하 여력은 축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경제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은 구체적인 금리 인상 시점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평가했다. 현지에서는 미국 연준이 이르면 내달 혹은 12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국제금융센터는 이날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 재부각 가능성’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12월이 유력하지만 9월로 앞당겨질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자본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추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난해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이 확산했을 때도 외국인 자본 이탈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작년 6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9개월 연속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다. 이 기간에 이탈한 외국인 자금은 266억 달러(약 30조원)나 됐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액과 경상수지 흑자규모 등 경제의 기초 여건은 좋은 편이지만 급격한 유출이 아니더라도 상당 규모의 자금이 유출될 공산은 있는 셈이다. 실제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자 외국인들은 코스피에서 24∼26일 순매도 행진을 펼쳤고 주가는 내림세를 보였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의 불안감을 확산시켜 실물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 등 신흥국 시장이 타격을 받게 되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하반기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이 우려되고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경제가 더 어려운 국면을 맞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가치를 높이면서 최근 원달러 환율의 급락을 둘러싼 우려는 줄어들 전망이다.

무엇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선제로 내리기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현실화될 공산이 더해지면서 한은이 먼저 움직이기가 쉽지 않게 됐기 때문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내외금리 차 축소로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 유출이 더욱 가속화될 우려가 있다. 결국 한은은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미 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나 금융시장 충격 등을 지켜보고 나서 기준금리를 판단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다만 하반기 우리 경제의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할 경우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부각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