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10월 한미 외교·국방장관 만나 북핵 대응방안 논의

윤병세 외교부장관 KBS일요진단 출연해 일정 공개

G20계기 한중정상회담 "가능성 상당해, 협의진전되면 밝힐 것"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지난 24일 일본 도쿄에서 한중일 3국 외교장관 회의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도쿄=연합뉴스윤병세 외교부장관이 지난 24일 일본 도쿄에서 한중일 3국 외교장관 회의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도쿄=연합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올해 10월경 미국에 가서 외교·국방장관 ‘2+2’ 회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외교·국방 2+2 회의는 지난 2014년 10월 이후 2년 만이다.

윤 장관은 2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면 할수록 그 고통과 비용이 훨씬 더 커진다 하는 점을 부각할 수 있도록 우방국과 함께 공조를 해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최근 태영호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의 망명 등을 거론하며 “최근 8개월 동안만 보더라도 탈북, 망명해서 한국에 입국하는 북한 엘리트층이 역대 가장 많은 숫자”라며 “국제사회의 대북압박이 여러 형태로 효과를 발휘하는 징조가 아닌가 분석하고 있고, 앞으로도 이런 현상들이 계속 있지 않겠나 전망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내달 4~5일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는 제11차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한중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다자회의가 있으면 양자 접촉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면서 “앞으로 협의가 진전되면 밝힐 수 있는 계기가 있지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G20 계기 한중정상회담이 성사되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가 의제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이 시점에서 회담이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것은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양자회동이 어떤 식으로든 이뤄진다면 중국이 제기하는 문제가 있다면 설명을 해주실 것이고,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시급성, 엄중성을 갖고 중점적으로 얘기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채택했다. 대상은 지난 24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를 포함해 8월 3일과 7월 19일의 탄도미사일 발사, 7월 9일 SLBM 발사다. 안보리는 “이런 발사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의 국제적 책무를 심각히 위반하는 것”이라면서 “안보리는 이를 포함한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활동이 북한의 핵무기 투발수단 발전에 기여하고,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점에서 이를 개탄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북한의 SLBM 발사와 8월 3일, 7월 19일 탄도미사일 발사 당시에는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규탄성명 채택에 미온적으로 나오거나 ‘사드 반대’ 문안을 넣자고 요구해 안보리의 대응이 무산됐다. 이를 근거로 중국이 이번 언론성명 채택에 동의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