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리나라 근로자, 나이 들수록 근로능력 빠르게 저하된다

"청년층 저하율 OECD 3위, 50대 이상은 1위"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나이가 들수록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속도가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출처=이미지투데이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나이가 들수록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속도가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출처=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나이가 들수록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속도가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30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인적자본 저하율의 국제 비교 및 영향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층 인적자본 저하율이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았다. 50세 이후 중장년층의 저하율은 OECD 국가 중 1위였다. 나이가 들수록 근로자의 근로능력이 빠르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인적자본 저하율은 정규교육을 통해 축적된 인적자본이 졸업 이후 줄어드는 정도를 측정한 수치를 말한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또 직장 규모가 작을수록, 평생학습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직장과 가정에서의 기술 활용도가 떨어질수록 인적자본이 줄어든다고 밝혔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직에 비해 전문생산직, 준 전문생산직, 전문직 순으로 인적자본 저하율이 낮아져, 저 숙련 직종일수록 인적자본이 빠르게 줄어드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이 같은 분석 결과에 이어 “인적자본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능력을 제고하고, 평생학습 참여를 확대하려는 기업과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영준인턴기자 gogundam@sedaily.com

김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