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서울~김포~시흥 등 주변 도시연결 교통 인프라 대폭 확충

인천시, ‘교통주권-모든길은 인천으로 통(通)한다’ 프로젝트 발표

인천시와 서울, 김포, 시흥 등 주변 도시를 잇는 교통관련 인프라가 대폭 확충된다.

인천시는 3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교통관련 정책수요자와 시민을 대상으로 인천시 핵심과제 중 하나인 ‘교통주권 -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한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주권이란 표현은 인천시가 올해 안으로 인구 300만명을 돌파하고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미래를 새롭게 준비하자는 의미에서 유정복 시장의 제안으로 채택됐다. 분야는 교통, 민생, 환경, 문화, 해양 등 모두 5개 분야의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발 KTX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데 이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 고시됐다”면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도 국토교통부와 이관 협약을 체결하는 등 앞으로 2년이 인천 교통주권 시대를 여는데 중요한 시기“ 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우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 사업이 지난 6월 국토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이후 내년도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23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어 도시철도 2호선을 김포시와 시흥시로의 연결해 광역도시로서 거점도시 역할을 모색할 방침이다. 시는 이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본격추진하기로 하고 문학 IC에서 도화IC까지 지하도로를 건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과 연결하고 경인고속도로 주변지역 개발사업 및 기본구상(2018년)을 통해 대체도로, 상부구간 활용 방안(공원 및 공공시설 가용용지 24만㎡) 등 일반도로화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계획이다.

서창~계양~김포간 새로운 고속도로 연결을 위해 민자사업을 유치하는 방안도 모색된다.


내년 3월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구간이 완공되면 현재 공사가 중단된 인천~ 안산구간도 오는 2018년 착수를 목표로 민간사업자를 공모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시민들이 이용하기 편한 내부 순환 교통망도 개선된다.

시는 인천도심을 순환하는 인천지하철 2호선~수인선~인천지하철 1호선~경인선~서울7호선을 연결, 원·신도심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유 시장은 59.6Km 인천 도심을 순환하는 전 구간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정된 재원으로 사업에 제약이 따라 대순환선 1구간인 인천대공원~송도구간을 우선 추진할 뜻임을 내비쳤다.

서울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도 추진한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예비타당성 조사결과가 올 안으로 나오면, 내년도에 도시철도기본계획 승인 고시 후 착공할 방침이다.

인천지하철 1호선의 검단연장 사업으로 계양역과 검단새빛도시를 연결하는 사업은 민간사업자를 선정해 2019년부터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인천시 최초로 경인고속도로 주변개발과 연계, 송도국제업무지구에서 용현학익지구, 1호선 작전역을 노면전차로 잇는 인 트램(In-Tram)을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제3연륙교(청라지구~영종도) 사업은 전환교통량 등 건설을 위한 최적 건설 방안을 오는 12월까지 분석해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교통주권 발표로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으며, 인천의 꿈이 대한민국의 미래가 되도록 교통주권을 잘 실현 될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