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잇따라 제기된 북한 내부의 공개 처형설과 관련 김용진 처형 및 김영철 혁명화 사실을 확인했다. 정부 관계자는 “김용진은 6·29 최고인민회의 단상 밑에 앉아있었는데 자세 불량을 지적받은 것이 발단이 됐다”면서 “‘반당 반혁명분자’, ‘현대판 종파’로 낙인찍혀 7월 중에 총살이 집행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김영철의 경우 고압적 태도를 보이고 무리하게 당 통전부 권한 확장을 추진하는 등 권력을 남용한 것이 원인이 됐다”며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한 달여 간 지방 농장에서 혁명화 처벌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최휘(61)도 선전사업 과정에서 김정은의 지적을 받고 5월 말 이후 지방에서 현재 혁명화 교육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용진 내각 부총리는 지난 2010~2012년 내각 교육상을 역임했고 리을설, 김양건, 강석주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김영철은 지난해 말 사망한 김양건의 뒤를 이어 통전부장으로 임명됐으며 정찰총국장을 역임한 대남 강경파로 꼽힌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김정은이 2011년 말 집권 이후 지난해 말까지 간부 100여명을 처형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2013년 고모부였던 장성택을 처형한 것을 비롯해 최영건 내각 보총리,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변인선 총참모부 작전국장 등이 대표적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김정은 집권 5년차에 접어들며 체제가 어느 정도 안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고위 간부들에 대한 처형 등 공포정치를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김정일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부터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전까지 2,000명이 훨씬 넘는 간부들을 숙청했다”며 “김정은 집권 이후의 숙청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매우 절제되고 선택적”이라고 분석했다. 정 실장은 또 “공포정치는 최고지도자를 절대화하는 스탈린식 개인절대독재체제의 중요한 한 특징”이라면서 “김정은 정권이 존재하는 한 공포정치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