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원순 시장"용산공원 반쪽짜리될판…특별법 개정으로 원형그대로 복원해야"

박원순 서울시장이 정부의 용산공원 조성안을 ‘반쪽짜리’라고 비판하며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의 개정을 통해 국민의 뜻이 반영된 완전한 형태의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용산공원 조성안에 따르면 용산공원이 정부부처가 선점하고 미군이 잔류하는 반쪽짜리 공원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며 “용산공원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358만㎡ 원형 그대로 복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용산공원은 용산미군기지 평택 이전으로 확보되는 243만㎡ 부지를 국가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지난 2003년 한미 정상이 기지 이전에 합의함에 따라 2007년 제정된 ‘용산공원조성특별법’에 따라 정부 주도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관련기사



박 시장은 정부의 용산공원 조성안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용산공원 조성 예정지에 국방부의 전쟁기념관과 방위사업청, 국방부 청사, 문체부가 소유한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들어서 있는 93만㎡와 2019년까지 이곳으로 옮겨오는 미국대사관 및 미군 잔류부지 22만㎡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박 시장은 “기존 시설과 미군이 추가로 요구 중인 한미연합사령부가 공원 중심부에 위치하는 점을 고려하면 용산공원이 외세에 종속된 한국의 상황을 보여주는 비운의 국가공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공원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조성한다는 것 외에는 민족성과 역사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점과 현황조사 없는 졸속 조성, 국민 의견 수렴이나 지역과의 협의가 없는 국토부의 일방적 추진 등도 함께 비판했다.

이에 따라 박 시장은 △용산공원의 역사·문화·생태 등 가치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반영해 국가적 가치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공원을 조성할 것 △정부·미군 부지를 덜어내고 358만㎡ 온전한 형태로 회복할 것 △국토부 주도의 폐쇄적 추진이 아닌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바탕으로 할 것 등 ‘용산공원 조성의 3대 원칙’으로 제안하고 이를 반영해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내년에 계획을 수립해 2019년 착공하겠다는 국토부 추진 일정을 전면 수정하고 단계별로 논의 사항을 반영해 추진 목표 연도를 조정해야 하자고 제안했다. 박 시장은 “정부가 서울시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적극적으로 하겠다”며 용산공원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계획도 밝혔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