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8·25 가계부채 대책’ → 공급물량 축소 → 가격 상승 지속?





‘8.25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정부와 시장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공급 물량 축소로 이어져 가격 상승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책 발표 이후 집값 상승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률은 0.10%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은 0.23% 상승해 주간 단위로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종전 최고치는 전주의 0.19%였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도 0.54% 상승해 전주(0.41%) 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양천(0.71%) △강남(0.40%) △강동(0.29%) △은평(0.27%) △성동(0.26%) △강서(0.23%) △관악(0.21%) △서초(0.21%) △송파(0.19%) △노원(0.18%)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는 △위례(0.25%) △산본(0.17%) △일산(0.14%) △중동(0.14%) △평촌(0.10%) 순으로 올랐다. 위례는 입주 단지가 늘어나면서 매수 수요가 늘었으나 매물이 귀해 가격이 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경기·인천은 평균 0.05% 상승한 가운데 지역별로 △과천(0.25%) △성남(0.18%) △광명(0.16%) △부천(0.15%) △고양(0.14%) △양주(0.11%) △시흥(0.10%) △구리(0.07%) △군포(0.07%)이 올랐다. 과천은 주공6단지의 관리처분인가 이후 호가가 높아지며 가격이 올랐다. 중앙동 주공1단지가 1,500만원 올랐고, 별양동 주공4단지와 6단지가 500-1,500만원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전국 0.04%를 기록하는 등 매매가격 변동폭에 비해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성북(0.30%) △서대문(0.29%) △은평(0.24%) △강북(0.16%) △구로(0.16%) △동작(0.09%) △송파(0.09%)이 상승한 반면 △강동(-0.18%) △서초(-0.05%)은 새 아파트가 입주하면서 기존 아파트 전셋값이 떨어졌다.

한편 한국감정원이 1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시세 동향 조사에서도 ‘8·25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서울 강남 3구 아파트값 상승 폭이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