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머니+]뉴스테이, 최대 8년 임대·임대료 상승률 5% 제한 매력

■뉴스테이 장·단점은

입지조건 좋은 곳 찾기 쉽지않고

2~3년 후 역전세난 일어나면

주변보다 임대료는 비싸질 수도

기업형 임대주택 ‘뉴스테이’의 차별점은 역시 안정성이다. 연 임대료 상승률 최대 5%를 적용받으면서 최대 8년간의 임대가 보장된다. 따라서 급격한 전·월셋값 상승이나 집주인의 변심 등으로 인한 이사 걱정이 없다. 실제로 대림산업은 모든 뉴스테이 단지의 연간 임대료 상승률을 3%를 넘기지 않을 계획이다.

건설사들이 계약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임대관리서비스를 총동원하는 것도 특징이다.

민간 임대시장이 형성되는 초기 단계이니만큼 노하우와 역량을 기르기 위해 다소 실험적인 서비스도 도입하고 있다. 재능기부자들에 대한 특별공급을 통해 교육과 취미,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그 중 하나다. 카셰어링과 조식, 아이돌봄 등도 반 분양 단지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서비스들이다.






다만 주거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입지 측면에서 뛰어난 단지들이 많이 공급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통과 교육이 뛰어난 주요 도심 부지는 공공은 물론 민간에서도 확보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정비사업 연계형 뉴스테이의 경우도 입지 등에서 다소 뒤쳐지는 탓에 사업성이 썩 좋지 않은 곳이 후보지로 정해지는 것이 현실이다.

관련기사



입주 시기에 단지 주변 지역에 역전세난이 일어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와 올해 아파트 공급 물량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뉴스테이도 함께 공급되고 있기 때문. 입주 시기인 2~3년 후에 낼 임대료를 미리 정해서 계약하는 만큼 주변보다 비싸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특히 공공택지는 대개 입주가 몰리는 시기에 역전세난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며 “뉴스테이는 주변 지역에 역전세난이 발발해도 사업 구조상 임대료를 낮추는 게 쉽지 않기에 계약자들이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