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올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이익 4,837억...전년比 74% 증가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들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4% 급증했다. 은행권 대출 심사가 깐깐해지면서 서민층 고객이 대거 저축은행을 비롯한 제2금융권으로 넘어간 영향으로 분석된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곳의 올해 상반기 잠정 순이익은 4,83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4.1% 늘었다.


대출금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이자이익이 순이익을 끌어올렸다. 저축은행들의 상반기 이자이익은 1조4,92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6% 늘었다.

올해 6월 말 현재 저축은행들의 대출금은 39조5,000억원으로 6개월 새 22.7% 증가했다. 이와 함께 총자산(47조5,000억원)이 18.3% 늘었다.


순이익 증가세에 따라 자기자본(5조5,000억원)은 20.2% 증가했다.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 전후로 계속해서 적자를 내던 저축은행들은 2014년 7~9월 흑자 전환한 이후 8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관련기사



수익성과 함께 자산건전성도 좋아졌다. 올해 6월 말 현재 저축은행권의 총 여신에 대한 연체율은 7.7%로 작년 말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8.7%로 2.3%포인트, 가계대출 연체율은 6.4%로 0.4%포인트 각각 내렸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7%로 1.5%포인트 하락했다. 부실채권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이 비율은 2013년 말 21.7%, 2014년 말 15.7%에 달했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6월 말 14.53%로 작년 말보다 0.39%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안심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축은행은 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높아서 경제 상황,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 은행이나 상호금융권보다 부실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윤창의 금감원 저축은행감독국장은 “앞으로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취급 규모와 연체율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필요하면 자산증가 속도를 조절하고 보수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해 부실 위험을 자체적으로 축소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