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러 정상, ‘북핵 불용’ 전제로 사드 포함 현안에 소통 강화키로

양국 정상, 공동기자회견서 '사드'라는 단어조차 꺼내지 않아

푸틴 "북한 핵보유 지위 용인 못해…군사·정치갈등 완화해야"

박 대통령 "러시아의 안보리 결의 이행에 감사"

靑 "양 정상, 사드 포함한 현안 놓고 소통 지속키로"

박 대통령 "북한 위협 제거되면 남·북·러 협력 재점화"

박근혜 대통령과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3일 오후(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협정 MOU서명식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박근혜 대통령과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3일 오후(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협정 MOU서명식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3일 러시아 연해주의 중심 도시 블라디보스토크의 극동연방대학교에서 개최한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 불용’을 기반으로 북한 문제를 풀어나가기로 합의했다.


푸틴 대통령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힐 것이라는 일각의 예상과는 반대로 양국 정상 모두 기자회견에서 ‘사드’라는 단어조차 꺼내지 않았다.

푸틴 대통령은 공동기자회견에서 우선 “우리 두 나라는 북한의 핵보유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러시아는 한반도 핵문제가 동북아에서의 전반적인 군사·정치적 갈등 완화 차원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군사대립의 수준을 낮추고 역내 모든 국가가 신뢰에 기초해 도발이나 긴장 고조를 불러오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박 대통령과 솔직하고 심도 있는 회담을 한 데 대해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 역시 “푸틴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러시아가 확고한 북핵불용 의지를 갖고 안보리 결의 이행과 북한의 추가적 도발 억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해 주고 있는 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두 정상의 말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청와대 측은 “양 정상은 사드를 포함한 한반도 및 동북아 문제에 대해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의견을 교환했다”면서 “두 정상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전략적인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열린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 전체 세션에서는 ‘북핵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케빈 러드 전 호주 총리의 질문에 “북핵에 대해 우려한다. 우리는 북한과 다양한 채널이 있고, 이를 활용해 첨예한 국면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나름의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이다.

이에 박 대통령은 “북한의 위협이 제거되면 남·북·러 3각 협력 프로젝트들이 재점화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박 대통령은 “현재 북한이라는 ‘끊어진 고리’로 인해 3각 협력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같은 장애가 제거되면 전력, 철도, 에너지 등에서 3각 협력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라디보스토크=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