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감원 '가계대출 억제' 칼 뺐다

여름철 비수기에도 12조 늘어

은행에 "리스크 관리방안 제출"

특별 TF팀 꾸려 속도제어 나서





이사철 비수기인 8월에도 주택담보대출이 4조원 가까이 급증하는 등 6~8월 석 달 동안에만 12조2,000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여름기간 최대 순증 규모다. 금융감독원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상황점검을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속도제어에 나섰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71조5,049억원으로 전월보다 3조9,884억원 증가했다.

올해 6월(4조84억원), 7월(4조2,018억원)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으나 8월에도 여전히 4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은 6∼8월 여름철 비수기에만 12조2,000억원이 순증했다. 매월 평균 4조원가량 증가한 셈이다. 정부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올해 5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됐지만 대출 증가세가 줄지 않고 비수기까지 이어지자 금감원은 이달 2일 가계부채 점검을 위한 특별 TF를 출범시켰다.

관련기사



이번 TF를 통해 은행·증권·보험·상호금융을 담당하는 각 국장이 한자리에 모여 업권별 가계부채 증가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관리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우선 은행권에 이달 중순까지 자체 분석을 통한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방안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세를 더 면밀하게 살펴보겠다는 일종의 신호를 보낸 셈이다.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것은 아파트 중도금 대출(집단대출)이었지만 최근에는 강남 지역 재건축이 활황을 보이면서 일반 주택담보대출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재건축 지역의 집값 상승과 동시에 대출 금액도 그만큼 늘어나는 구조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TF의 가계부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상가 비주택담보대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거나 상호금융권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