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짝퉁 전기차업체 싹 정리"

관련산업 과잉공급 우려...보조금정책 수정안 내놓기로

중국이 조만간 전기자동차 보조금 정책 수정안을 발표하며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전기차 업체 솎아내기에 나선다. 자동차 가격의 절반에 달하는 정부 보조금을 노린 짝퉁 전기차 업체들이 난립하면서 자칫 철강과 석탄 분야처럼 전기차 산업도 과잉공급 시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베이징청년보는 6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공신부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지원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마련하고 조만간 보조금 정책 수정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초기 성장단계인 시장 규모에 비해 전기차 관련 업체가 지나치게 많아 경쟁력 있는 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을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현재 중국의 전기차 생산 기업은 200개를 넘고 전기차배터리 업체도 15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청년보는 “전기차 업체를 포함한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은 양적으로는 급팽창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책에 지나치게 의존해 경쟁력이 낮고 자생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친환경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을 위주로 혜택을 주는 등 당국이 보조금 지원 대상과 범위를 재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지난달 중국 공신부가 발표한 ‘신에너지차 생산기업·제품 허가관리규정 개정안’에는 중국 당국의 전기차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을 받은 기업에만 보조금 지원을 한다는 기존 내용이 제외돼 모범기준을 아직 통과하지 못한 LG화학과 삼성SDI 등 국내 업체가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이번 중국의 보조금 정책 수정안에 새로운 규제 조치가 포함될지 여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13~2015년 중국 중앙정부 차원에서만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에 284억위안(약 4조7,0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했고 지방정부도 같은 기간 약 200억위안(3조3,000억원)을 지원했다. 이 기간 보조금 지원 혜택을 받은 차량은 42만대로 한 대당 평균 보조금은 미국의 9배인 11만5,000위안(약 1,900만원)에 달한다. 중국 당국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17~2018년에 올해 대비 20% 줄이고 2019~2020년에는 40% 축소한 후 2020년 이후 폐지할 방침이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