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强달러에 베팅...달러RP·달러ETF 노려볼만"

'달러 RP' 환차익 기대로 인기

중수익 이상 원하는 투자자는

달러 ETF·달러ELS 상품 적당

고수익 노리는 공격적 투자자

해외 상장 ETF에 직접 투자를



올해 안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다시 달러 강세에 베팅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율 예측은 ‘신의 영역’이라 불릴 만큼 어렵기 때문에 투자에 앞서 각 상품의 특징과 위험도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증권사의 달러 금융상품중에는 달러 환매조건부채권(RP)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다. 금리 자체는 1% 아래에 있지만 단기 자금을 굴릴 수 있다는 점과 달러 가치 상승기에 환차익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환차익은 이자소득세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돼 절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삼성증권과 대신증권 등의 달러 RP 수익률은 수시향이 0.30~0.35%, 31~60일이 0.60% 정도를 보이고 있다. 국내 공기업과 대기업 등이 외국에서 달러로 발행하는 외화표시채권(KP)도 달러 강세 수혜를 볼 수 있는 상품이다. KP는 국내에서 발행한 채권 대비 수익률이 좀 더 높고 달러가 강세일 때 환차익도 노릴 수 있다.


중수익 이상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달러 상장지수펀드(ETF)나 달러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을 노려볼 만 하다. 국내에 상장된 ETF 중 원·달러 환율과 연동한 상품은 총 4개다. 단순 추종하는 ETF 뿐만 아니라 레버리지 ETF처럼 미국달러선물 지수의 일간 변동 폭을 1.5배 혹은 2배로 추종하는 ETF도 있다. 다만 달러 ETF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어 금융소득세부담이 큰 투자자는 주의해야 한다.

관련기사



알파벳이나 아마존, 페이스북 등 미국 증시의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투자하는 주가연계증권(ELS)에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주가 움직임은 물론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추가 수익을 낼 수 있다. 일반 해외 주식형펀드 투자자들은 같은 펀드라도 환 노출형 구조를 선택하면 수익률 상승과 환차익의 일석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수익을 노리는 공격적 투자자라면 해외 주식이나 해외 상장 ETF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어떤 상품을 고르든 달러에 동시 투자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속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원화를 달러로 바꿔 투자해야 해 환전비용이 들고, 원·달러 환율을 기초자산으로 한 해외 상장 ETF는 찾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