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적자금 투입해서라도 한진해운 정상화를”

부산시민비대위 상경 집회

"사재 출연 등 턱없이 부족"

정부·조 회장 대응책 촉구

한진그룹이 한진해운발(發) 물류대란 진화를 위해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 400억원 포함해 모두 1,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부산시민들이 한진해운 정상화를 위한 조 회장과 정부의 강력한 대응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진해운살리기 부산시민비상대책위원회는 7일 서울 중구 한진그룹빌딩 앞에서 집회를 열고 “한진해운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는 해운항만산업의 특성과 이에 따른 국가경제 파장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단순한 경제·금융논리에서 벗어나 국가경제 관점에서 봐야 한다”며 한진해운 법정관리 결정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상경집회에는 부산시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 항운노조 등 주최 측 추산 500여명(경찰 추산 400명)이 참여했다.


비대위는 공적자금 투입 등 한진해운 정상화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한진해운은 용선료와 항만 하역비 연체 등 선박 운항과 관련된 채무만 6,5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6일 한진해운이 선박 운항을 정상화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1,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해 투입한다고 밝혔지만 비대위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이승규 비대위 공동대표는 “전 세계에 깔린 한진해운의 물류 네트워크를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며 “해운업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수많은 근로자가 얽혀 있는 산업인데 정부가 아직 그 중요성을 모르는 것 같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이어 현대그룹이 현대상선 회생을 위해 알짜 계열사인 현대증권을 매각한 것을 언급하며 조 회장이 한진해운 정상화에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일 것을 요청했다. 이 공동대표는 “조 회장이 사재 400억원을 낸다지만 턱없이 부족하다”며 “조 회장이 한진해운을 살리려는 의지가 정말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비대위는 한진해운 법정관리로 총 17조원의 경제적 손실을 볼 것으로 추산했다. 물류대란에 따른 하역사와 선박급유 등 해양항만 사업뿐 아니라 수출입 업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것이다.

비대위는 해운항만업계의 줄도산으로 1만1,000여명가량의 대량 실업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배 한 척에 야적기사와 도선사 등 총 300~400명의 인력이 들어간다”며 “이달 1일 한진해운 법정관리 결정 이후 부산항이 침체에 빠져 1,000여명의 크레인 기사가 이미 실직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진해운이 이른 시일 안에 정상화되지 않으면 실업 규모와 부산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회장 앞으로 항의서한과 성명서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대위 관계자 20여명이 한진그룹빌딩 진입을 시도해 경찰과 물리적 충돌을 빚기도 했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