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지난달 조선 수주 단 8척...남은 일감 12년만에 최저

中과 수주잔량 격차 커지고 일본과 차이는 갈수록 줄어



우리 조선사들의 남은 일감이 12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까지 내려앉았다. 지난 한 달 전 세계에 41척의 신규 선박 발주가 이뤄졌지만 우리 조선업계는 8척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비어가는 도크는 갈수록 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전체 발주량의 절반이 넘는 선박 물량을 수주하며 수주잔량 기준으로 세계 1위 자리를 다졌다.

7일 영국 조선·해운 전문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총 88만2,889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가 발주됐고 이 가운데 36.8%인 32만4,534CGT(22척)를 중국 조선소가 가져갔다. 우리나라는 20만7,524CGT(8척)를 수주해 23.5% 점유율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조선산업 후발 주자인 중국이 전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 상황에서 우리나라를 큰 격차로 따돌린 것이다.


올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누적으로 따지면 수주 실적은 더욱 초라하다. 우리나라 조선소는 올해 8월까지 전 세계 조선소에 발주된 799만536CGT(296척) 가운데 106만8,494CGT(37척)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306만2,180CGT(130척)를 수주했다. 그나마 일본이 96만9,687CGT(39척)를 수주해 우리나라보다 신규 수주가 적다는 점은 위안거리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조선소들의 일감을 뜻하는 수주잔량은 2,331만CGT로 지난 2003년 10월 말 이후 12년 10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중국은 3,570만CGT, 일본은 2,196만CGT로 1위 중국과의 격차는 벌어지는 한편 3위인 일본과의 격차는 더욱 좁혀졌다.

한·중·일 3국의 점유율을 봐도 한국은 24.1%까지 떨어졌고 중국은 36.9%, 일본은 22.7%까지 오히려 소폭 상승했다. 중국과 일본이 자국 발주 물량을 국내 조선소에서 수주하는 전략을 펴면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1~2년 안에 한국 조선소들이 확보한 일감 규모가 중국에 이어 일본에도 밀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