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구조조정 청문회…유일호 "구조조정 원칙 지키려면 법정관리 갈 수도"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 번째)이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연석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 번째)이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연석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열린 구조조정 청문회에서 “구조조정 원칙을 세우고 가다 보면 한진해운처럼 법정관리로 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연석청문회’에 참석해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물류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정부는 대기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원한다든가, 부실이 드러났는데 국민 혈세로 지원하는 것은 더 이상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강조했다. 다만 조선업 구조조정의 경우 여러 문제가 있지만 자구노력 효과가 있는 만큼 정상 하역이 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별관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의 5조원대 분식을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4조2,000억원 규모를 지원, 결과적으로 혈세를 낭비했다는 지적에는 “채권단이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해 왔다. 단시 분식 위험을 인지했지만 그러한 (지원) 정도로 해야만 되겠다고 판단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서별관회의의 지원 결정이 국가보조에 해당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될 여지가 있다는 지적에는 “서별관회의는 협의를 위한 것으로 참석자들이 자연스럽게 의견을 개진하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결정을 한 자리가 아님에도 결과적으로 지원이 됐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한편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직을 맡다가 휴직 중인 홍기택 전 산업은행 회장을 정부가 추천했느냐는 질문에는 “한국분 4~5인이 지원했는데 정부는 (홍 전 회장을) 추천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람을 시켜달라고 (AIIB에) 요청했다”고 답했다. 이에 인사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산은 회장도 인사청문회를 한다. 그걸 거쳤으리라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